[기자수첩] 인링크, 정말 ‘절대악’일까?

기사승인 2018-04-28 05:00:00
- + 인쇄

[기자수첩] 인링크, 정말 ‘절대악’일까?어떤 경우에도 악한 것을 가리켜 ‘절대악’이라고 부른다. 절대악이 되려면 개개인의 도덕성 및 가치관 등에 따라 논쟁할 여지가 없어야 한다. 최근 정치권과 다수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 ‘아웃링크 서비스’를 보고 있으면 절로 떠오르는 말이기도 하다. 

더불어민주당 당원의 댓글 조작 사건인 ‘드루킹 사태’ 논란이 커지자 네이버는 25일 댓글 개편안을 발표했다. 지난 3월 발족한 ‘댓글정책이용자패널’에서 나온 4가지 개선 방안들을 서비스에 적용하기로 한 것이다. 네이버는 당초 오는 8월쯤을 기점으로 패널에서 논의된 내용을 발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여론이 악화되면서 1차 개편안을 통해 사태 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개편 방안은 ▲24시간 동안 하나의 계정으로 클릭할 수 있는 공감‧비공감 수 50개 제한 ▲한 계정으로 동일한 기사에 작성할 수 있는 댓글 수 3개 제한 ▲연속 댓글 작성 시 댓글 작성 간격 10초에서 60초로 확대 ▲공감‧비공감 연속 클릭 시 10초 간격 두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개편안에 ‘아웃링크 전환’이 포함되지 않으며 비난의 강도는 거세지고 있다. 아웃링크는 사용자가 뉴스를 클릭하면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를 방문해 기사를 읽게 되는 방식을 뜻한다. 현재 네이버는 ‘인링크’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인링크 제도가 정말로 없어져야만 하는 서비스인지는 생각해봐야 한다. 

네이버에 따르면 당초 인링크제는 사용자를 위해 도입됐다. 아웃링크 제도를 통해 이용자가 각 언론사 사이트로 유입될 경우 해당 언론사 서버 환경에 따라 속도 등의 편차가 발생한다. 트래픽이 증가할 경우 인터넷 속도 저하 현상은 심해질 수 있다. 또 다수의 광고로 뉴스를 소비하는 이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안정적인 환경에서 뉴스를 읽을 수 있도록 나온 제도가 인링크였던 셈이다.

게다가 네이버는 인링크 제도로 인해 얻게 된 광고 수입 중 70%는 언론사에, 30%는 언론발전기금으로 제공한다. 일각에서 제기된 ‘뉴스 장사’란 손가락질이 억울한 이유다.

아웃링크 도입만으로 댓글 조작이 근절될 수 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 되려 국민의 의견을 배출할 수있는 ‘댓글’이라는 통로를 막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드루킹 사태가 터지기 전 댓글은 국민의 소통 창구였다. 아웃링크는 만능 해결책이 아니다. 아웃링크로 전환한 뒤에도 문제점은 발생할 수 있다. 아웃링크로 전환했을 때 야기되는 불편함에 대한 개선 방안이 없다면 ‘반대를 위한 반대’가 될 뿐이다.

이승희 기자 aga4458@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