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30:3 신드롬에 휩쓸린 동물복지인증제품

기사승인 2018-06-22 05:00:00
- + 인쇄

[기자수첩] 30:3 신드롬에 휩쓸린 동물복지인증제품소비자 100명 중에 30명은 제품을 구매할 때 제조업체의 사회적 책임 또는 더 안전한 제품을 고려한다고 응답하지만, 실제로 관련 제품을 구매하는 것은 3명에 불과하다이른바 ‘30:3 신드롬이다.

지난해 발생한 살충제 계란 사태는 국민에게 거대한 공포로 다가왔다. 실생활에 밀접하게 닿아있는, 꾸준히 먹어왔던 먹거리가 위험하다는 사실은 자연스레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동물복지인증제품은 동물복지인증을 받은 농장에서 생산된 동물로 만들어진다. 동물복지란 크게 배고픔과 불편함, 질병,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이고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할 정도의 사육환경을 갖추고 생육하는 것을 말한다.

살충제 계란의 원인이 이른바 케이지형 사육때문으로 드러나면서 이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높아졌다. 농장들이 최대한 좁은 공간에 많은 산란계를 키우기 위해 비좁은 케이지를 사용하면서 진드기 등 질병유발군에 취약해지자 이를 막기 위해 살충제를 뿌렸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의 동물복지인증농장과 관련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높아지기 시작한 것도 이때와 궤를 같이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은 관심에서 그쳤을 뿐 소비로 이어지지 않았다. 동물복지인증 농장은 기존의 공장형 사육보다 더 많은 공간과 품이 든다. 당연히 생산단가가 올라가고 이는 제품 가격에 반영된다.

1000(300) 농장의 경우 10만마리의 산란계를 키울 수 있지만 동물복지형 농장으로 전환하게 되면 6000마리 규모로 급감한다. 케이지 대신 너른 공간에서 활동하는 닭은 산란률이 70%로 떨어진다. 기존 계란 1개의 평균 생산단가를 100원으로 가정하자면 동물복지인증 계란의 생산비는 300원까지 올라가는 이유다.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할 때 더 안전한 제품보다는 가격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는 소비자들의 인식에서도 드러난다. 실제로 농촌진흥청이 전국의 25~59세 여성 5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동물복지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동물복지인증을 받은 달걀을 구매하겠다는 응답은 92%였으며, 이 중 63.4%안전을 이유로 꼽았다.

그러나 기존 계란 대비 최대 3배 가량 비싼 동물복지인증계란의 가격을 들은 뒤에는 구매하겠다는 대답이 62.7%로 줄었다.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가격 저항 심리가 높기 때문이다.

국내 식품업체들은 동물복지인증제품을 생산·판매하지만 사실상 이윤이 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자사 이미지에 대한 환기와 시장에 대한 선점 효과가 중심이다. 이익추구가 우선인 기업은 당연히 잘 팔리는 제품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소비-공급-소비로 이어지는 선순환의 고리가 아직 동물복지인증제품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살충제 계란은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의문을 던졌지만 파고(波高)는 높지 않았다. 건강한 먹거리는 건강한 소비에서 기인한다는 인식이 더욱 퍼지길 바라본다

조현우 기자 akg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