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10곳 중 8곳은 감염병 발생 줄이는 감시배양검사 안 해

다제내성균 감시배양검사, 69기관 중 25개소는 미실시

기사승인 2018-07-14 00:12:00
- + 인쇄

주사제 등 제조약품 무균검사 미실시율도 60%에 달해

감염발생을 줄이기 위해 감시배양 검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의료기관 10곳 중 8곳은 정기적인 감시배양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한임상병리사협회 감염관리위원회(이하 협회)가 발표한 ‘전국 의료기관 감염감시배양검사 실무자들의 감염관리 업무현황에 대한 실태보고서’에 따르면 강화된 정부 감염관리정책에도 슈퍼박테리아(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급속 전파 등 감염감시 기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에 따르면 일명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의 경우, 질병관리본부 통계는 매년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18년 1월~5월 기간에만 4784건 발생했다고 보고됐다.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보면 법정 의료관련 감염병(6종의 다제내성균) 발생을 줄이는데 효과적 방법으로 알려진 적극적인 감시배양검사(active surveillance)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곳이 18.8%로 매우 낮았는데 종합병원 중에도 12%는 병원 사정상 미 실시했고, 검사를 외부수탁기관에 의뢰하고 있다고 조사됐다.

대한임상병리사협회 감염관리위원회 윤남섭 위원장은 보통결과를 받아보는데 10여일 소요되므로 환자격리가 지연되는데 주변 환자와 접촉하면서 내성균이 확산되거나, 또는 보균자를 상급병원으로 이송한다면 더 많은 환자에게 감염을 전파시키는 피해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설문하지 않은 200병상 미만의 중소병원 및 요양병원은 더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 기관이 미 실시할 수밖에 없는 원인을 정부가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실태조사에서 일상적인환경배양검사 즉, 의료기관에서 환자에 적용되는 각종 기구, 제조된 약품 등이 환자에게 사용되기 전에 무균상태임을 증명하는 무균성 검사는 매일 또는 매주 시행한다는 기관이 34.6%이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됐던 주사제 등 제조약품 무균검사는 40%로 낮았다.

환경감시배양 검사는 50%의 기관에서 유행병원체가 발생할 경우에만 실시하고 나머지 50% 기관은 미수행 상태라고 응답했다.

윤 위원장은 현재의 실태조사에서도 무균상태를 검증하는 검사 시행률이 저조한데 정부가 2018년 10월부터 150병상 이상 감염관리실을 설치한다는 규정을 적용해도 오염원 인지-소멸시키는 절차에 대해 지금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의료기관 10곳 중 8곳은 감염병 발생 줄이는 감시배양검사 안 해

각 의료기관은 감염발생을 줄이기 위해 감시배양 검사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다제내성세균 감시배양검사, 무균성 검사, 오염도 검사의 시행 횟수, 적정 기준 등 정부의 지침이나 병원평가문항도 없기 때문에 굳이 비용을 써서 감염관리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인식도 미흡했다.

그러나 10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은 감시배양검사 실무 인력이 부족하고 적자를 감수하며 정기적인 환경감시배양 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검사 실무자들은 감시배양 검사업무는 수작업에 의해 많은 시간과 노동이 소요되는 검사이지만, 검사인력은 81.2%가 없다고 응답했다. 이는 병원체를 찾아내는 근거중심의 감염관리 수행을 어렵게 하는 이유로 지적됐다.

감염발생을 줄이는 감염관리는 병원체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훈련된 검사경험이 있는 임상병리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감염관리 활동은 의사·간호사·임상병리사·약사 등 다학제팀으로 구성된 전문인력의 협력으로 현장을 감시한다고 밝혔다.

윤남섭 위원장은 “병원내 슈퍼박테리아 집단감염 발생이라는 부끄러운 뉴스가 반복되는 것은현 감염관리 프로그램이 감염발생 시 추적검사, 환자격리, 교육 등 사후조치 위주의 감염관리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각 의료기관은 감염관리검사를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는 규정이나 감시배양검사의 기준도 없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개선하려면 감염발생은 현장에 답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병원내 병원체 오염을 사전에 탐지하는 감시배양검사를 시행해 사전 예방조치로 감염원점을 제거함으로서 감염발생 악순환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장인호 대한임상병리사협회장은 “강화된 정부 감염관리정책에도 불구하고 슈퍼박테리아(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가급속 전파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 의료관련 감염관리정책은 문제가 있다”고 우려하고, “무엇보다 다제내성균에 대한 감시배양검사, 환경배양검사 등 병원체 감시기능이 총체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러한 문제 해결에 정부가 나서서 검사수가 신설과 더불어 감염관리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인력배치 등 기본 인프라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는 병원마다 줄어들지 않는 감염유행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검사 실태에 대해 실무자(미생물검사를 실시하고 있는 335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우편설문조사를 실시, 29%인 97개 기관 응답)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