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기획] '1일 1 페북'하는 정치인들... 득일까 실일까?

기사승인 2020-09-18 05:00:45
- + 인쇄
[팀 기획] '1일 1 페북'하는 정치인들... 득일까 실일까?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의 21대 총선 당시 페이스북. 사진=이낙연 더불어민주 당 대표와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의 페이스북 캡쳐

[쿠키뉴스] 조현지 기자 =‘페이스북’이 정치인의 또 다른 소통창구로 활용되고 있다. 

기자는 여러 정치인들과 페이스북을 통해 ‘친구’를 맺고 있다. 본회의, 수해복구 봉사활동 등에 대한 소감을 밝힐 뿐만 아니라 특정 이슈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의원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표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의원들의 ‘입’으로 활용되고 있는 페이스북이 활용되고 있는 만큼 의원들 계정에 올라온 글들이 곧바로 기사화가 되기도 한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상황에선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역구가 있는 의원들의 경우 주민들과 전처럼 대면으로 만나기 어렵기 때문에 게시물을 올려 소통을 한다. 아침 산책과 같은 가벼운 이야기부터 지역 현안에 대한 공유까지 다양한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온다. 

21대 총선 당시에도 페이스북을 통한 치열한 견제가 오가기도 했다. 당시 ‘미니 대선’으로 꼽혔던 종로구 후보자 이 대표와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을 통해 매일 지역구 주민들에게 ‘1일 1편지’를 보냈다.

이 대표와 황 전 대표는 거리유세 후 느낀 소감을 짧은 글로 남겼다. 황 전 대표는 ‘아침편지’, ‘밤편지’의 제목을 달기도 했다. 게시글에는 각 후보의 지지자들이 “응원합니다”, “끝까지 최선을 다해주세요” 등의 댓글을 남겼다.

그러나 ‘소통의 창구’였던 페이스북에 부적절한 게시물을 올려 비판에 직면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박재호 민주당 의원의 ‘성인물 공유’ 논란이 그 예다. 지난 6일 0시 40분 경에 박 의원의 공식 페이스북 계정에는 해외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인 동영상이 약 10분간 노출된 후 삭제됐다. 동영상은 ‘공유하기’ 형태로 게시됐다.

논란이 일자 박 의원은 “새벽에 성인 동영상이 공유됐다는 사실을 전해 듣고 서둘러 삭제했고 해킹에 의한 것인지, 단순 실수인지 등 경위를 파악하고 있다”며 “페이스북은 의원 본인이 아닌 보좌진이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해명에 국민의힘은 “책임회피에 급급하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페이스북에 올린 글로 ‘편가르기’ 논란에 휩싸였다. 전공의 등 의사들이 파업에 나선 가운데 의료현장을 지키고 있는 간호사에게 응원의 메시지를 보내는 내용의 글이었다. 이를 두고 일부 언론에서 ‘갈라치기’, ‘편가르기’라는 비판이 일자 청와대 관계자는 ‘단순 격려’라고 해명했다. 

이와 관련 신율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사용하는 것에 따라 득이 될수도 있고 실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페이스북 게시글에 정제되지 않은 언어들이 남발된다면 오히려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술 먹고 잘못 올렸다’ 등의 사례도 있었다고 부연했다.

신 교수는 또 “정치 풍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며 “페이스북은 폐쇄성이 강하기 때문에 정치인들의 상황 판단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댓글로 달린) 지지자들의 목소리가 여론이라고 생각할 가능성이 높다. 확증 편향이 강화되고 정치인으로 마땅히 가져야할 여론의 객관성 파악이 어려워지는 것이다”라고 했다.

페이스북과 같은 1인 미디어의 등장이 정치의 진일보를 이끌었다는 평가도 나왔다. 김능구 폴리뉴스 대표는 “과거 언론을 통해 이슈 된 것들을 SNS에 공유하던 흐름이 거꾸로 바뀌었다. 정치인들 개인이 소통하기 위해 올린 글을 언론이 취재해서 다시 알리는 게 주된 흐름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굉장히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특히 소수 정치 세력들, 진보 정당이라든지 여성·환경 등의 분야에서는 거대 정당이 아닌 경우에는 소통이 어려웠다. 그들의 정책이나 노선을 알릴 방도가 없어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며 “1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과거 소수정파들이 언론으로부터 배제되는 경향이 사라지게 됐다. 정치를 시민들과 가까이 있게끔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또 메시지를 의원들만이 내는 것이 아닌 대안의 메시지를 댓글을 통해 남기는 등 서로 나눌 수 있게 만들었다. 국민과 정치, 언론 3자 체계에서 언론 중심으로 돌던 커뮤니케이션이 직접 소통으로 변화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hyeonzi@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