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 국내외 수소시장 선점 나선다…그룹 ‘수소TFT’ 신설

계열사 수소사업 시너지↑…수소 ‘생산‧유통‧활용’ 전 분야 집중

기사승인 2021-04-21 10:12:18
- + 인쇄
두산, 국내외 수소시장 선점 나선다…그룹 ‘수소TFT’ 신설
두산퓨얼셀이 연료전지 주기기 114대를 공급한 대산 수소연료전지발전소. 부생수소를 활용한 세계 최초‧최대 연료전지발전소다.(사진제공=두산)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 두산그룹이 수소시장 선점을 위해 그룹 수소역량을 한데 모으는 수소 태스크포스(TFT)를 신설 운영한다. 두산그룹의 수소TFT는 수소 생산과 유통, 활용 모든 분야에 대한 전략을 수립해 계열사간 수소사업 시너지 극대화에 나선다.

두산이 수소시장 선점을 위해 두산중공업, 두산퓨얼셀 등 계열사 전문인력을 모아 ㈜두산 지주부문에 수소TFT를 신설하고, 수소사업 전반에 걸친 전략 수립에 나섰다고 20일 밝혔다. 

두산그룹 측은 글로벌 수소시장을 분석하고 국가별, 정책별 시장기회를 파악하면서 그룹에 축적된 수소사업 역량을 결집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행보라고 설명했다.

◇수소 생산‧유통‧활용 등 수소 전 분야 비즈니스 전략 만든다

두산은 이번 그룹 수소TFT를 통해 수소 생산을 비롯해 ‘저장‧운반’ 등 유통, ‘발전‧모빌리티’ 등 활용에 이르는 수소 밸류체인 전반의 시장 발굴하고, 비즈니스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두산 수소TFT는 외부 전문기관과 손잡고 글로벌 수소시장 분석에 우선 착수했다. 두산 측은 북미 시장에 주목하고, 미국 각 주별 수소시장 분석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시장을 발굴과 분석과 함께 두산 수소TFT는 두산그룹이 보유한 기존 수소기술의 효율을 끌어 올리고, 향후 필요한 핵심기술 확보 전략도 수립하는 임무를 맡았다. 

두산 관계자는 “그룹 내 축적된 역량을 모아서 최대한의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낼 것이다. 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선 전략적 파트너를 찾거나 인수합병(M&A)을 통해 단기간에 역량을 끌어올리는 것도 공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빠른 시일 내 구체적인 그림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 국내외 수소시장 선점 나선다…그룹 ‘수소TFT’ 신설
 2시간 이상의 비행시간이 가능한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의 수소드론이 인명구조 비행 시연에서 구명 튜브를 싣고 비행하고 있다.(사진제공=두산)
◇두산그룹, 수소사업 역량 자신감

두산이 조만간 청사진을 내놓겠다며 자신감을 보이는 것은 든든한 배경이 있기 때문이다. 회사 측은 주요 수소산업분야에서 한발 앞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듀산퓨얼셀은 수소연료전지 발전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국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다. 두산그룹에 따르면 두산퓨얼셀은 최근 3년 연속 신규 수주액 1조원을 달성했고, 2023년에는 매출 1조5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두산 관계자는 “국내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공급자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두산이 보유한 연료전지 기술 포트폴리오는 다양한 수요에 대처할 수 있어 경쟁력이 높다는 업계의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두산퓨얼셀은 현재 인산형연료전지(PAFC)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최근 영국 세레스파워(Ceres Power)와 손잡고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기술도 개발 중이다. 이와 별도로 ㈜두산 퓨얼셀파워는 5kW‧10kW 건물용, 1kW 주택용 수소연료전지, 100kW급 수소시스템 등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라인업을 갖췄다.

수소모빌리티 분야의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하 DMI) 기술력도 두산그룹의 수소산업 자신감의 한 축이다. 

DMI는 비행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린 수소드론을 개발하고 양산에 돌입했다. DMI는 외딴 지역 응급물품 배송, 가스배관 모니터링, 장시간 산림 감시 등 관제와 해상 인명 구조 등 다양한 상황에서 제품 성능을 입증했다. DMI는 지난해 처음 열린 국제수소포럼에서 수소드론의 산업적 가치에 대해 발표하는 등 다양한 수소모빌리티 행사에 참가 권유를 받으며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이 그룹 측의 설명이다.

◇두산그룹 계열사, 발 빠른 수소산업 확대

두산 계열사들은 기존 수소 비즈니스 확대와 함께 새로운 분야에 대해서도 발 빠르게 사업을 찾으면 영역 확대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두산중공업은 경남 창원시 등과 함께 계약을 맺고 수소액화플랜트 사업에 나섰다. 두산중공업은 2022년 준공을 목표로 창원공장 부지에 수소액화플랜트를 건설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자체기술로 만든 액화수소를 수소충전소에 공급해 국내 수소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두산중공업은 두산퓨얼셀 지분 30.3%를 확보한 최대주주로 수소사업에서 있어 두산퓨얼셀과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주력한다. 두산퓨얼셀은 지난 달 주주총회를 통해 ▲수소용품 제조 판매 서비스 ▲수소생산 시설 및 수소연료 공급 시설 설치 및 운영 ▲전기자동차 충전 등을 새로운 사업목적으로 추가하면서 영역 확대에 나섰다. 

두산퓨얼셀은 현재 선박용 연료전지 개발에 나서며 발전 분야에 국한됐던 사업 범위를 확장 중이다. 또 2030년 30조원 이상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그린수소 기자재 시장 선점을 위해 PEMFC 방식의 수전해 기술 개발에도 착수했다. 이 기술은 최근 국책과제로 선정돼 2023년까지 상용화될 예정이다.

DMI는 하늘에 이어 지상 모빌리티 분야로도 진출한다. 이와 관련 중국 로봇전문기업 중신중공업카이청인텔리전스와 최근 업무협약을 맺고 소방용 수소로봇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DMI는 2시간 이상 전력공급이 가능한 수소연료전지 기술력을 바탕으로 물류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모빌리티에 접목시켜 나갈 계획이다.
 
특히 두산은 수소 생산에도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이미 두산중공업은 그린수소 생산에 착수했다. 지난해 말 제주도에서 시작한 ‘그린수소 실증사업’에 참여해 제주에너지공사가 보유한 풍력단지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두산중공업은 이곳에 수소생산 시스템과 생산된 수소를 압축 저장하는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두산퓨얼셀도 수소 생산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다. 두산퓨얼셀은 LPG 등 가스를 원료로 전기와 열, 수소를 모두 만드는 트라이젠(Tri-gen)을 국책과제로 개발 중이다. 과제를 완성되면 수소 생산으로 사업을 넓히게 된다. 

두산, 국내외 수소시장 선점 나선다…그룹 ‘수소TFT’ 신설
두산퓨얼셀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제품. 연료전지는 수소,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에너지 설비다.(사진제공=두산)
◇수소분야 시장상황 긍정적…“수소역량 집결로 빠른 성장세 보일 것”

두산은 현재 수소분야 시장 상황이 긍정적이라고 보고 있다. 따라 이번 수소TFT를 통해 역량을 집중시켜, 빠른 성장속도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수소연료전지 발전업계는 내년에 도입 예정인 수소발전 의무화제도(HPS)에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HPS가 실시되면 수소연료전지 발주량은 단기간에 늘어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실제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세계 수소시장 규모는 2050년 12조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바이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힘입어 미국 수소시장의 성장이 기대된다. 

이와 관련 두산은 미국 수소시장에서 두산퓨얼셀아메리카를 앞세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두산퓨얼셀아메리카는 두산퓨얼셀과 같은 PAFC를 주력제품으로 한다. 두산 측은 그동안 미국 시장 정체의 여파를 받아왔으나 작년에는 매출 2424억원, 순이익 89억원을 기록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DMI, 두산퓨얼셀, ㈜두산 퓨얼셀파워 등 3개사는 지난 해 10월 중국에서 열린 수소연료전지 엑스포에 참가하는 등 중국 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섰다. 이들 3사는 엑스포에서 수소연료전지팩, 수소드론, 주택‧건물‧발전용 수소연료전지 등 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두산 관계자는 “계열사들이 수소 분야에서 제각각 사업을 진행하면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긴 하지만, 수소TFT를 통해 보다 높은 비전이 제시되고 그룹의 수소역량을 결집시키는 시너지 전략이 나온다면 더욱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songbk@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