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경제] 주민 반대로 중단된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가 이르면 다음주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25일 “10월 초에는 공사를 재개하려고 생각하지만, 정확한 시기는 최종적으로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은 “더 이상 늦출 수는 없는 시점”이라며 “내년 여름철 전력피크에 신고리 원전의 전력을 공급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한전은 신고리 원전 3호기가 내년 3월 상업운전 예정임을 감안해 늦어도 10월 초에는 공사를 재개해야한다고 내부적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반대 주민과의 최후 협상 가능성을 고려해 정확한 공사 재개일은 아직 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공사가 재개될 경우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과의 극렬한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 밀양 주민들은 현재 공사 현장에서 3~4명씩 당번제로 보초를 서는 등 기습적인 공사 강행에 대비하고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26일 송전탑 현장을 방문한다. 공사 재개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한다는 차원이지만 공권력 투입에 앞선 사전 점검이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밀양 송전탑 공사는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전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 변전소까지 약 90㎞ 구간에 전선을 잇는 사업이다. 주민들은 765㎸ 고압 송전탑과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고강도의 전자파로 건강권을 침해받을 수 있다며 공사에 반대해왔다. 주민들은 송전선로를 땅속에 묻는 지중화나 기존 송전선로를 활용한 우회송전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전은 송전선로가 높이 50m의 송전탑에 설치돼 지면에 닿는 전자파 영향이 크지 않으며 전자계 노출로 암이 발생한다는 의학적 증거도 불분명하다고 반박한다. 건설비용 2조원에 건설기간이 10년 이상인 지중화는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우회송전도 고장 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어 수용 불가 원칙을 지키고 있다.
밀양 송전탑 공사는 2008년 7월 주민들이 첫 반대 궐기대회를 연 뒤 5년 가까이 주민·정부간 대표적 갈등 사례로 지적돼왔다. 준공 목표는 2010년 12월이었지만 5년간 모두 12차례 공사가 중단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조환익 한국전력 사장은 25일 “10월 초에는 공사를 재개하려고 생각하지만, 정확한 시기는 최종적으로 조율 중”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은 “더 이상 늦출 수는 없는 시점”이라며 “내년 여름철 전력피크에 신고리 원전의 전력을 공급하려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한전은 신고리 원전 3호기가 내년 3월 상업운전 예정임을 감안해 늦어도 10월 초에는 공사를 재개해야한다고 내부적으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반대 주민과의 최후 협상 가능성을 고려해 정확한 공사 재개일은 아직 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공사가 재개될 경우 송전탑 공사에 반대하는 주민과의 극렬한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 밀양 주민들은 현재 공사 현장에서 3~4명씩 당번제로 보초를 서는 등 기습적인 공사 강행에 대비하고 있다.
이성한 경찰청장은 26일 송전탑 현장을 방문한다. 공사 재개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비한다는 차원이지만 공권력 투입에 앞선 사전 점검이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밀양 송전탑 공사는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전에서 경남 창녕군 북경남 변전소까지 약 90㎞ 구간에 전선을 잇는 사업이다. 주민들은 765㎸ 고압 송전탑과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고강도의 전자파로 건강권을 침해받을 수 있다며 공사에 반대해왔다. 주민들은 송전선로를 땅속에 묻는 지중화나 기존 송전선로를 활용한 우회송전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한전은 송전선로가 높이 50m의 송전탑에 설치돼 지면에 닿는 전자파 영향이 크지 않으며 전자계 노출로 암이 발생한다는 의학적 증거도 불분명하다고 반박한다. 건설비용 2조원에 건설기간이 10년 이상인 지중화는 대안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우회송전도 고장 시 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수 있어 수용 불가 원칙을 지키고 있다.
밀양 송전탑 공사는 2008년 7월 주민들이 첫 반대 궐기대회를 연 뒤 5년 가까이 주민·정부간 대표적 갈등 사례로 지적돼왔다. 준공 목표는 2010년 12월이었지만 5년간 모두 12차례 공사가 중단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