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7일 (토)
올해 수도권 점포 평균 권리금 역대 '최저'

올해 수도권 점포 평균 권리금 역대 '최저'

기사승인 2016-12-30 09:45:35 업데이트 2016-12-30 09:45:39


[쿠키뉴스=이연진 기자] 올해 수도권 소재 점포 평균 권리금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30일 점포라인이 자사 데이타베이스(이하 DB)에 등록된 수도권 소재 점포매물 2만4286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평균 권리금은 지난해 보다 3.56% 하락한 85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련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도권 소재 점포 권리금은 미국발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과 이듬해인 2009년에도 1억원대를 유지했다. 하지만 지난해 처음으로 1억원 아래로 떨어지더니 올 들어 하락세가 심화됐다.

이같은 권리금 하락세는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창업 열풍이 지난해부터 점차 사그러들면서 자영업 경기가 침체기로 접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지난 9월 28일부터 시행된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금지법(김영란 법)'도 적잖은 영향을 줬다.

지역별로는 서울에 비해 인천·경기지역의 자영업 경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워진 모습이다. 올해 매물로 나온 서울 소재 점포는 전년보다 52.18%(5477개) 증가한 1만5972개, 평균 권리금은 1.78%(158만원) 내린 8691만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인천·경기 지역은 지난해보다 129.47%(4691개) 증가한 8314개로 2008년 이후 가장 많았다. 권리금도 6.77%(593만원) 내린 8161만원을 기록해 서울 보다 상대적으로 하락률이 컸다.

업종별로는 '김영란 법'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한식점 매물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물로 나온 수도권 소재 한식점 매물 수는 2559개로 전년대비 66.49%(1022개) 증가했다. 매물이 늘면서 권리금도 지난해보다 18.82%(1819만원) 떨어져 7846만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32개에 그쳤던 학원 매물도 올해 381개로 1090%(349개) 증가했다. 매물로 나온 학원의 평균면적은 150㎡ 미만으로 이를 감안할 때 대형 학원보다는 소규모로 운영되던 보습학원이 운영난에 영업을 그만두고 점포로 내놨을 것이라는 게 점포라인측 분석이다. lyj@kukinews.com

이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자연이 교과서, 미래가 교실…양천구 ‘그린스쿨링’ 실험

“멸종위기 생물 손수건 만들기 체험을 하면서 멸종위기 동물들이 많다는 걸 알게 됐어요. 지구를 지키기 위해 재활용을 더 열심히 할 거예요” (길산초 6학년 김모양)기후위기 시대, 미래세대가 마주할 환경 문제를 교실 밖으로 끌어내 함께 고민하고 실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16일 서울 양천구청 일대에서 열린 ‘Y교육박람회 2025’ 현장. 쏟아지는 소나기도 아이들의 호기심을 꺾지는 못했다. 학생들은 이른 오후까지 이어진 빗줄기에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