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 사태가 일파만파 퍼지면서 포털의 뉴스 제공 방식을 ‘아웃링크(Outlink)’로 바꾸라는 법안까지 등장한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용자 불편만 가중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드루킹 일당의 댓글조작 사태를 계기로 네이버 등 대형 포털 사이트의 뉴스 공급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치계에서는 포털사가 뉴스 서비스를 ‘인링크(Inlink)’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이번 사태를 발생시키는 데 한 몫 했다고 주장했다. 이 방식으로 인해 포털 내에서 뉴스 댓글을 달게 되고, 나아가 댓글 조작까지 가능했다는 것이다.
국내 포털이 사용하고 있는 인링크 방식은 뉴스 클릭 시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가 아닌 포털 내에서 뉴스를 제공한다.
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24일 논평에서 네이버 등 포털사가 수익 극대화를 위해 인링크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대변인은 “인링크 방식으로 인해 기사는 해당 언론사가 쓰지만 광고 수입은 모두 네이버가 차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석준 자유한국당 의원은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일명 드루킹 방지법)을 대표발의 해 아웃링크 방식을 법제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개정안에 따르면 포털 사이트에서는 뉴스 제목만 보여주고 뉴스 내용은 해당 언론사 홈페이지로 직접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법률을 위반하고 인링크 방식의 기사를 제공할 경우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뉴스 제공 방식을 인링크에서 아웃링크로 바꾸는 것은 ‘교각살우(矯角殺牛)’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댓글 조작 문제를 막기 위해 아웃링크 방식으로 변경 시 뉴스 서비스 이용자는 오히려 기사 본문에 뜨는 광고로 불편함을 겪는다는 것이다.
일부 이용자들은 “뉴스 콘텐츠 이용자 입장에서는 깔끔한 편집의 포털이 훨씬 보기 편해 포털을 통해 뉴스를 읽는 것”이라며 “댓글조작 문제는 댓글 정책을 개선해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인데, 아웃링크로 전면 변경할 경우 너무 많은 광고 배너 등으로 기사 한 줄 읽기도 힘들다”고 불편함을 호소했다.
포털업계도 아웃링크 방식이 이용자의 뉴스 가독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치계의 주장과 달리, 포털의 뉴스 서비스는 수익을 내는 모델이 아니다”라며 “이용자 편의성을 위해 인링크 방식을 도입한 것이며 실제 인링크로 버는 광고비는 프로그램을 통해 언론사에 되돌려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뉴스 기사를 아웃링크 방식으로 바꿀 경우 언론사 홈페이지마다 편집 스타일도 다르고 광고도 자주 떠 이용자의 뉴스 콘텐츠 이용을 꺼려지게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남가언 기자 gana91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