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심해지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치료법

가을철 심해지는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치료법

기사승인 2018-11-02 16:34:35 업데이트 2018-11-02 16:34:45

가을철이만 난방을 시작하면서 건조해져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급증한다. 코골이 원인은 정상적인 호흡에 관여하는 신체 부위 중 일부가 막히거나 기능이 떨어져 소리가 나는 것이다. 즉 코골이는 비정상적인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은 너무나 다양하다. 뇌숨골기능저하, 폐기능저하, 횡경막기능저하, 기도협착 등이다. 단 코는 양쪽이 동시에 막혀야 무호흡이 유발되기 때문에 단지 코 질환으로만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수면무호흡증 여부는 수면다원검사로 확인해야 한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단순코골이로 진단된다면 목젖 주위가 떨려서 소리가 나는 것인 경우 목젖 주위를 잘라 주거나 코 질환이라면 고주파 혹은 레이저를 통한 이비인후과 적인 수술적 치료가 있다. 만약 입을 벌리고 자는 구강호흡이 원인이라면 입을 닫고 자게 하는 구강내장치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혈액 내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 코골이라면 전혀 다른 치료법이 필요하다. 수면무호흡증 원인은 숨 쉬는 숨골 기능 저하부터 횡격막 기능 저하 심지어 노화까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어떠한 수술로도 완치는 불가능하다. 

현재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양압기 치료만이 유일하게 장기적으로 사용 시 수면무호흡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심혈관 위험도가 정상인과 동일하게 떨어진다는 사실이 입증 돼, 유일한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양압기는 수면 중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만들어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빠른 검사와 치료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게 되면 깊은 잠을 방해하고 치매의 위험을 높인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치매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중년 이후의 노인에게서 잘 나타나고 추운 날씨에 더 위험하기 때문에 요즘과 같이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수면무호흡증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올해 7월1일부터 조건에 만족된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수면다원검사를 건강보험 적용 해 주고 있고, 수면다원검사상 수면무호흡증이 확진된 경우 양압기 치료도 보험 적용 해 준다.

한진규 원장은 “양압기 치료 시 주의할 점은 개개인의 코고는 정도에 따라 필요한 공기의 압력이 다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면다원검사 및 압력처방검사 등을 통해 각자에게 적합한 치료 압력을 찾아야 한다. 양압기의 자동 압력 조절 기능에만 의존해 사용한다면 제대로 된 효과를 보기 어려울 수도 있고, 적응에 실패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