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매운동, 이번에는 다르다…시민주도·각계각층 참여·SNS 인증

일본 불매운동, 이번에는 다르다…시민주도·각계각층 참여·SNS 인증

기사승인 2019-08-15 06:30:00

일본 불매운동이 과거와 다르게 효과적이면서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모습이다. 

13일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일본 여행 불매가 지속될 경우 일본의 오는 2019년 경제성장률은 0.1%포인트 하락할 전망이다. 2020년 일본의 생산 감소분은 8846억엔(약79억2000만 달러), 부가가치 감소분은 4558억엔(40억8000만 달러)에 달한다. 한국인 관광객이 줄어든다면 9만5700여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실제로 일본 관광업계는 타격을 입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오키나와현 한 호텔의 10월 한국인 관광객 예약 건수는 지난해 대비 90%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 한국인 관광객의 후쿠오카 대형 호텔 예약 취소는 지난해 대비 30% 증가했다. 항공사들도 일본으로 향하는 항공편을 대폭 축소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일본산 맥주와 패션브랜드, 화장품 등도 지난달 들어 매출이 급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불매운동은 과거에도 존재했다. 지난 1990년대와 2000년대 일본의 역사왜곡·망언 등으로 인해 일본 불매운동이 진행됐다. 위안부 모집 문서 발견,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후소샤 우익 역사교과서 출판, 시마네현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 등이 일본 불매운동의 원인이 됐다. 당시 일본 제품을 불매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현재와 같이 활발하게 진행됐다는 평가를 받기는 어렵다. 

최근의 일본 불매운동이 효과를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시민들이 주도했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과거 불매운동은 시민·사회단체의 주도로 진행됐다. 그러나 이번 일본 불매운동은 SNS에서 먼저 시작됐다. 시민들이 직접 일본 제품 불매 리스트를 만들었고, 이미지를 제작해 배포했다. 온라인에서 진행됐던 불매운동은 오프라인으로까지 활발하게 번졌다.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는 지난달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네티즌이 자발적으로 동참하고 있다는 것이 과거 불매운동과 가장 큰 차이”라고 설명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대가 참여하고 있다는 점도 불매운동의 동력이다. 지난달 29일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 국민 10명 중 7명이 일본 불매운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다. (사)소비자권익포럼과 ㈜C&I소비자연구소가 지난달 25일부터 28일까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만 19~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대한 소비자참여 및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1.7%가 “불매운동에 참여한다”고 말했다. 참여 중이지 않지만 향후 참여의사를 밝힌 응답자도 14.8%였다.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들도 불매운동에 동참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교복업체 스마트학생복이 ‘청소년 역사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약 94%가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한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일부터 9일까지 9일간 진행됐다. 초등학생 28명, 중학생 498명, 고등학생 578명이 참여했다. 

그간 ‘반일’ 의견을 자제해온 보수단체도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규탄에 힘을 보탰다. 한국자유총연맹은 13일 오후 아베 총리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아베 정권은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 협의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결의대회에는 진보성향으로 분류되는 함세웅 신부도 연사로 참석했다.

놀이처럼 SNS에 일본 불매를 인증하는 문화도 생겼다. SNS에 ‘NO 재팬’ ‘NO 아베’ 문구가 담긴 이미지를 올리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본 여행 취소 인증샷 또는 일본 제품을 대체할 국산 제품 인증샷을 올리는 일도 있다. 한국마트협회에 소속된 각 마트에서는 ‘우리 마트는 일본 제품을 판매하지 않습니다’라는 걸개를 건 모습을 인증하기도 했다. 또한 일본의 대표적 패션브랜드인 유니클로 매장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살피는 ‘유파라치(유니클로 파파라치)’도 하나의 문화처럼 등장했다. 

일본은 지난달 반도체 주요 소재에 대한 한국 수출을 규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지난 7일에는 전략물자 수출 시 절차를 간소화한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배제하는 내용을 공표했다. 이는 지난해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조치라고 분석됐다. 이후 국내에서는 일본 불매운동이 전개됐다. 정부에서도 일본을 화이트리스트인 ‘가’ 그룹에서 제외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한·일이 강 대 강으로 대치하면서 갈등은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 사진=박효상 기자 tina@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