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헬스] VDT증후군에 통풍까지…젊으니까 아프다

컴퓨터로 일하고 술자리 잦은 현대인들, 근골격계 질환 호소

기사승인 2020-10-22 04:44:01
- + 인쇄
화면상단과 눈높이 일치, 키보드 조작 땐 손목 꺾임 주의

퓨린 많은 육류‧술 섭취로 관절에 요산 쌓이기도 


[2030 헬스] VDT증후군에 통풍까지…젊으니까 아프다
서울 잠실 한강공원.


[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흔히 근골격계 질환이라고 하면 노년기 질환으로 인식하기 쉽다. 실제로 근골격계 질환 진료를 많이 받는 연령대는 5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지만 최근에는 20‧30대 환자도 크게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 뼈, 관절 등의 문제로 목, 어깨, 허리, 팔다리의 신경‧근육 등에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5139만명 중 1761만명이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으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수진자수가 401만명으로 가장 많았으나, 20‧30대 환자 수도 349만명이나 됐다. 특히 20대 환자는 2009년 110만명에서 2019년 146만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증감률이 2.9%였으며, 30대는 연평균 1.6%t씩 증가해 같은 기간 174만명에서 203만명으로 늘었다. 성별로는 20‧30대 모두 남성이 더 많았다. 

70대 이상과 비교해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는 영상표시단말기(VDT)증후군, 테니스 엘보, 통풍 등이 있다.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VDT증후군 수진자수는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연도별 수진자수는 2009년 458만명, 2012년, 553만명, 2019년 634만명으로 집계됐다. VDT증후군 수진자수는 스마트폰 회선 수가 증가한 2009년~2012년 사이 크게 늘었는데, 같은 기간 전체 근골격계 질환자수가 연평균 4.6% 증가한 것에 비해 VDT증후군 수진자수는 연평균 6.5%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VDT증후군 관련 질병 중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 질환은 일자목증후군이었다. 일자목증후군의 경우 70대 이상에서는 22만명의 수진자수가 확인된 반면, 20대에서는 27만명, 30대에서는 38만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경우에도 20‧30대 수진자수가 51만명(70대 이상 40만명)에 달했고, 안구건조증은 53만명(41만명), 손목터널증후군은 2만1000명(2만3000명)이었다.

VDT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의 휴식과 간단한 스트레칭, 받침대 또는 보호대 사용이 도움 된다. 특히 VDT증후군은 작업기기의 사용과 관련이 높은 만큼 근무환경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데, 이와 관련해 고용노동부는 작업 기기의 조건, 작업 자세 등의 내용을 담은 ‘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을 고시하기도 했다. 

[2030 헬스] VDT증후군에 통풍까지…젊으니까 아프다
▲고용노동부가 고시한 ‘VDT 취급근로자 작업관리지침’ 일부.


지침에 담긴 작업 자세를 보면 ▲VDT 취급근로자의 시선은 화면상단과 눈높이가 일치할 정도로 하고, 작업 화면상의 시야는 수평선상으로부터 아래로 10도 이상 15도 이하에 오도록 하며 화면과 근로자의 눈과의 거리는 40센티미터 이상을 확보할 것 ▲윗팔(Upper Arm)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작업자의 어깨가 들리지 않아야 하며, 팔꿈치의 내각은 90도 이상이 돼야 하고, 아래팔(Forearm)은 손등과 수평을 유지해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키보드를 조작할 것 ▲연속적인 자료의 입력 작업 시에는 서류받침대(Document Holder)를 사용하도록 하고, 서류받침대는 높이․거리․각도 등을 조절해 화면과 동일한 높이 및 거리에 두어 작업할 것 ▲의자에 앉을 때는 의자 깊숙이 앉아 의자등받이에 등이 충분히 지지되도록 할 것 ▲근로자의 발바닥 전면이 바닥면에 닿는 자세를 기본으로 하되, 그러하지 못할 때에는 발 받침대(Foot Rest)를 조건에 맞는 높이와 각도로 설치할 것 등이 있다. 

손목을 위로 젖히는 동작으로 인해 반복적인 파열 및 염증이 생기는 ‘테니스 엘보’도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테니스 엘보의 정식 명칭은 ‘외측상과염(M77.1)’로, 테니스를 즐기는 사람들에게서 자주 발생해 붙여진 이름이다. 최근에는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 컴퓨터 작업이 많은 직장인, 팔을 많이 사용하는 운동선수 등에서 흔히 나타난다. 이에 지난해 20‧30대 외측상과염 수진자수는 각각 1만3808명, 5만 4406명으로, 70대 이상 환자(3만5878명)보다 많이 발생했다.


[2030 헬스] VDT증후군에 통풍까지…젊으니까 아프다
 

젊은 남성에서는 ‘통풍’ 위험도 커지고 있다. ‘바람만 스쳐도 아프다’는 통풍은 요산이라는 성분이 관절 등에 쌓이면서 통증을 일으킨다. 때문에 요산 제거 능력이 감소하는 고연령일수록,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을수록 발병 위험이 크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에서 발병률이 크게 올라가고 있다. 지난해 20‧30대 통풍 수진자수는 10만명이 넘었고, 특히 30대에서 8만명 이상 발생했다. 70대 이상 수진자수는 6만8992명이었다. 성별로는 20대 남성 2만6599명, 여성 1484명, 30대 남성 7만8281명, 여성 2483명으로 남성 환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는 남성호르몬과 식습관의 영향이 크다. 박영환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남성호르몬은 요산 배설을 못하게 하고, 음식에 있는 퓨린이라는 성분은 요산을 만들어낸다”면서 “퓨린은 육류와 술 등에 많이 있는데 젊은 층일수록 서구화된 식습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고 술자리도 잦기 때문에 연관성이 있다고 보여진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통풍의 통증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만성관절염 통증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라며 “젊은 남성이 술 마신 다음 날 통증을 호소하며 응급실을 내원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요산이 관절에 쌓이면 붓고 아프지만 신장에 쌓이면 결석이 생긴다”며 “통풍은 만성질환이기 때문에 평생 관리해야 하는 질환이다. 약물치료로 염증과 통증을 줄일 수 있지만 염증이 많이 쌓이면 수술로 긁어내야 하고, 연골이 파괴되면 더 큰 수술로 이어지기 때문에 식습관 조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uin92710@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
친절한 쿡기자 타이틀
모아타운 갈등을 바라보며
오세훈 서울시장이 역점을 둔 도시 정비 사업 중 하나인 ‘모아타운’을 두고, 서울 곳곳이 찬반 문제로 떠들썩합니다. 모아타운 선정지는 물론 일부 예상지는 주민 간, 원주민·외지인 간 갈등으로 동네가 두 쪽이 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찾은 모아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