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 (토)
‘핼러윈에 뜨는 블루문’… 국립과천과학관 온라인 중계

‘핼러윈에 뜨는 블루문’… 국립과천과학관 온라인 중계

한 계절에 세 번째 뜨는 보름달, ‘블루문’이라 칭해

기사승인 2020-10-31 19:45:35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페이스북
노상우 기자
nswreal@kukinews.com

[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국립과천과학관이 핼러윈데이 당일인 31일 밤 8시 ‘핼러윈에 뜨는 블루문’을 관측하며 온라인으로 보름달 관측과 해설을 중계한다.

보름달은 한 계절에 세 번 뜨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간혹 네 번 뜰 때가 있는데 블루문은 세 번째 뜨는 보름달을 일컫는다. 그러나 1946년 미국의 천문 유명잡지인 '스카이앤텔레스코프(Sky& Telescope)'에서 ‘블루문은 한 달에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이라고 잘못 기사를 낸 것이 오히려 널리 퍼져있다.

전통적으로 서양 문화권에서는 보름달을 불길한 것으로 간주했다. ‘blue’와 비슷한 옛날 단어인 ‘belewe’에는 배신하다(betray)라는 뜻이 있는데, 두 번째 보름달을 ‘배신자의 달’이라고 칭한 것이 블루문의 어원으로 가장 유력한 가설이다. 여기에 추가해 동양에서는 보름달이 풍요를 상징하지만, 서양에서는 불길한 징조로 보아 한 달에 두 번이나 뜨는 달을 암울한 색인 파란색과 조합해 블루문이라 불리게 되었다.

국립과천과학관 천체관측소의 망원경에 연결한 카메라로 보름달을 실시간으로 관측하고, 핼러윈 캐릭터 분장을 한 출연자들이 블루문과 핼러윈데이의 의미와 기원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또 달 탐사 전문가의 우리나라 달 탐사 현황과 계획, 세계 각국의 달 탐사 현황에 관한 인터뷰 영상을 방송하며 고감도 카메라를 활용해 천문해설사가 가을철 별자리 해설을 할 계획이다.

블루문은 평균적으로 2년 8개월마다 발생하며, 할로윈데이 때 블루문이 관측되는 건 19년마다 일어난다. 따라서 다음 할로윈데이 때 블루문이 뜨는 날은 2039년 10월 31일이 되겠다.

블루문‧할로윈데이 기념 온라인 방송의 자세한 내용은 국립과천과학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온라인 중계는 오후 8시부터 9시까지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방송된다.

nswreal@kukinews.com
노상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제카’ 김건우 “T1, 경기력 뛰어나…잘 대비해서 승리할 것”

‘제카’ 김건우가 T1의 경기력을 고평가하면서도 철저한 준비를 통해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한화생명e스포츠는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개막전 패배 후 연승에 성공한 한화생명은 2승1패를 기록했다. 경기 후 쿠키뉴스와 만난 김건우는 “첫 연승을 이룬 게 너무 좋다. 2세트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피드백하면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