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년 금단의 땅’에서 맛보는 가을 정취[쿠키포토]

‘110년 금단의 땅’에서 맛보는 가을 정취[쿠키포토]

- 경복궁 옆 송현동 부지, 한세기 넘어 개방
- 음악회 겸한 ‘가을달빛송현’ 행사 열어

기사승인 2022-10-07 23:12:09
서울시는 광화문 옆 높은 담장에 둘러싸여 있던 송현동 부지가 한 세기 만에 활짝 개방되어 시민 곁으로 다가오면서 7일 저녁 음악회를 겸한 “가을달빛송현” 행사를 열었다.

- ‘서울광장 면적 3배’ 시민휴식공간으로…
- 2년간 개방 후 ‘이건희 기증관’ 품은 문화공원 조성

한 세기 넘게 높은 담장에 둘러싸여 들여다볼 수조차 없었던 금단의 땅, 종로구 ‘송현동 부지’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왔다.
서울시는 ‘이건희 기증관’ 건립이 본격적으로 착수되기 전인 2024년 상반기까지 3만6천642㎡ 규모의 송현동 부지 전체를 열린녹지광장으로 재조성해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서울시는 110여 년 만에 시민에게 돌아오는 ‘열린송현녹지광장’의 임시개방을 기념하기 위해 7일 저녁 음악회를 겸한 ‘가을달빛송현’ 행사를 열었다. 잔디광장 한켠에는 보름달을 형상화한 지름 5m 크기의 달 조명을 중심으로 수십 개 작은 달이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조명 조형물’이 설치돼 가을밤을 환하게 밝혔다.

달빛 쏟아지는 가을 밤, 110년 만에 열린 공간에서 시민들은 삼삼오오 가족 혹은 직장동료, 연인과 함께 사진을 찍으며 짙어가는 넓은 잔디광장에서 가을밤의 정취를 맘껏 즐겼다. 그동안 송현동 부지는 도심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110년 넘게 높은 담장에 둘러싸여 밖에서 들여다볼 수조차 없었다.
서울시는 송현동 부지를 둘러 쌓았던 4m 높이 장벽을 1.2m 돌담으로 낮춰 바깥에서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게 했다. 가운데에는 1만㎡ 넓이의 잔디 광장을 만들고, 광장 주변에 야생화 군락지도 조성했다. 퇴근길 한 시민이 송현동 부지의 야생화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주로 왕족들이 흩어져 살다가 1910년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인 조선식산은행 사택이 들어섰다. 광복 후 1997년까지는 주한미국대사관 직원 숙소로 쓰였다. 이후 소유권이 한국 정부에서 삼성생명으로, 다시 대한항공으로 넘어가며 20여 년간 방치되다 서울시가 2020년 6월 공원화 계획을 발표한 뒤 우여곡절 끝에 다시 공공 부지로 돌아왔다. 대한항공, 서울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3자 간 합의로 부지 교환이 성사돼 올해 7월 초 소유권이 대한항공에서 LH로 변경됐으며 조만간 서울시로 넘어올 예정이다.

지난해 11월에는 ‘이건희 기증관’(가칭) 건립 부지로 선정됐고, 서울시는 기증관 건립공사가 시작되기 전인 2024년 12월까지 약 2년간 이곳을 시민에게 먼저 개방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2025년부터는 ‘이건희 기증관’을 중심으로 나머지 공간을 문화공원으로 만드는 작업을 시작한다. 내년 개최되는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를 비롯하여 프리즈서울, 작은음악회, 버스킹 등 시민참여형 문화예술공간으로 적극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시는 임시 개방 기간 넓은 녹지 광장에 최소한의 시설물만 배치하기로 했다. 문화예술 행사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다. 내년 5∼10월에는 ‘서울건축비엔날레’가 송현동 부지에서 열린다.

시는 부지 전체를 둘러싸고 있던 4m 높이 장벽을 1.2m 돌담으로 낮춰 바깥에서 한눈에 들여다볼 수 있게 했다. 가운데에는 1만㎡ 넓이의 잔디 광장을 만들고, 광장 주변에 코스모스와 백일홍 등 야생화 군락지도 조성했다.
서울광장 면적 3배에 달하는 3만7천117㎡ 규모 땅이 시민 휴식공간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광장 내부 보행로는 인사동에서 경복궁∼북촌으로 가는 지름길로 이용된다. 공원 하부 지하 공간에는 관광버스 주차장(50면)을 포함한 통합주차장(약 450면)을 만들어 인근 불법주차 문제를 해소할 방침이다.

글·사진=곽경근 대기자 kkkwak7@kukinews.com
곽경근 기자
kkkwak7@kukinews.com
곽경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