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우리포트] 무지외반증 수술 부담을 줄여주는 '바이오멜트 나사' 교정술

[건우리포트] 무지외반증 수술 부담을 줄여주는 '바이오멜트 나사' 교정술

기사승인 2020-09-16 08:34:04
- + 인쇄
[건우리포트] 무지외반증 수술 부담을 줄여주는 '바이오멜트 나사' 교정술

#연세건우병원, 무지외반증 수술 부담을 줄여주는 '생체 분해 나사' 교정술 도입
#글// 박의현 연세건우병원 대표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경쟁은 혁신을 만들어내고 혁신은 소비자의 효용으로 돌아간다. 이는 꼭 경영계에서만 통용되는 말은 아니다. 의료계도 혁신을 통해 비약적으로 발전해왔다. 과거에는 작은 질병에도 사망하거나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경우가 잦았지만 최근에는 꽤나 어려운 고난이도의 수술을 최첨단 장비와 기술을 통해 말끔하게 치료해내는 경우가 많다.

국민의 6만명 이상이 매년 병원을 찾는 질병이 있다. 흔히 '하이힐 병'이라고 불리는 무지외반증이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안쪽으로 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보통 하이힐이나 구두처럼 볼이 좁은 신발을 계속해서 착용할 경우 엄지발가락이 오랜 시간 압력을 받으면서 발병한다.

무지외반증의 1차적인 문제는 '미용상'의 이유다. 한쪽으로 휘어져버린 발가락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이 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발가락을 숨기게 된다. 비가 자주 오는 장마철이나 여름철 맨발이 노출되는 시원하고 가벼운 신발을 신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미용상의 문제는 부차적인 문제다. 무지외반증은 통증을 동반하는 병이다. 엄지발가락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통증은 걸음걸이나 자세를 부자연스럽게 만든다. 그로 인해 다른 발허리뼈 부분에 체중이 많이 가해져 발바닥에 통증이 생긴다. 엄지발가락이 아닌 둘째와 셋째 발가락에 큰 힘이 가해지면서 발가락과 발목의 관절이 붓고 발바닥에도 굳은살이 생겨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또 걸음걸이가 이상해지면서 허리나 다른 부위의 통증이 이어질 수도 있다.

초기 무지외반증의 경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개선이 가능하다. 보통 휘어진 각도가 20도 이내일 경우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단계에서 병원을 찾아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 이유는 간단하다. 통증이 적기 때문이다.

엄지발가락이 휘어진 정도가 30도를 넘어서게 되면 통증이 심해지며 수술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뒤늦게 수술을 결심했다 해도 난관이 있다. 수술 과정이다. 무지외반증은 두 번의 수술이 필요하다.

처음 수술에서는 변형된 뼈의 정렬을 잡아준 다음 틀어지지 않도록 나사나 핀을 이용해 고정한다. 그 다음의 수술은 바로 고정된 핀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이는 꼭 무지외반증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골절을 비롯한 뼈에 발생한 문제를 바로잡는 수술이라면 거의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최근에 이 과정을 한 번으로 줄이는 수술 기법이 국내에 도입되었다. 핀란드의 생분해성 의료기기 제조사, 이니온(INION)이 개발, 판매하는 생체 분해성 재질의 나사 못이다.

'바이오 멜트'라고 불리는 이 나사못은 말 그대로 체내에서 일정 시간 뒤 저절로 녹아 없어지는 나사다. 이 바이오멜트를 이용하면 두 번씩이나 필요했던 기존 수술과정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말 그대로 획기적인 기술이다.

부작용은 없을까? 시험사용 결과 지금까지 뼈가 붙지 않거나 제대로 붙지 않아 2차 수술을 해야 하는 사례는 한 번도 없었다. 특히 3세대 생분해성 나사는 뼈의 두께, 길이 등 형태 차이 등을 고려해 자유자재로 환자 맞춤형 성형 재단 후 삽입할 수가 있어서 수술 후 이물감이나 통증도 거의 없다.

다행스러운 점은 이 수술에도 건강보험이 적용된다는 점이다. 친환경 신소재와 의학이 만나면서 가장 빠른 성과를 보이는 것이 무지외반증 치료 세계다. 단 한 번의 수술로 환자가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니온의 바이오 멜트 나사는 무지외반증 치료에 신세계를 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