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단신] 카카오, 네이버

기사승인 2021-05-03 17:48:53
- + 인쇄
[IT 단신] 카카오, 네이버
제공=카카오


카카오-카카오커머스, 지역 창업자 위한 판매자 양성과정 진행


카카오와 카카오커머스는 전국 6개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손잡고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창업자들을 위해 ‘2021 카카오 클래스-톡스토어 판매자 양성과정’을’ 진행한다.

카카오 클래스는 예비·초기 지역 창업자, 소상공인이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 활용 노하우를 교육 받을 수 있는 동반성장 교육 프로그램으로 카카오와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가 2016년부터 함께 운영해 오고 있다. 카카오커머스는 ‘톡스토어 판매자 양성과정’ 운영에 3년째 함께 참여하고 있다.

올해는 카카오 클래스의 전국 확대를 위해 제주와 경남, 대구, 인천, 전남, 충북 등 전국 6개 지역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카카오 클래스 운영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전국 단위 참가자 모집과 교육을 진행한다.

‘톡스토어 시작하기’라는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카카오 클래스를 통해 참가자들은 카카오톡 스토어를 직접 개설하고 운영하는 방법 등을 배우게 되며, 단계별 맞춤형 강의와 전문가 노하우를 교육 받게 된다. 강의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5월 31일부터 일주일 동안 본인이 원하는 시간에 톡스토어 활용법을 수강할 수 있다.

카카오 클래스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중인 지역 창업자나 소상공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기본과정 선발인원은 총 1200명(각 지역 센터별200명)이고, 오늘부터 오는 5월 20일까지 접수를 받는다. 수강자에게는 카카오톡 스토어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별도의 온라인 강의가 제공되며 기본과정 수료 후 톡스토어 입점 신청시 선착순 200개 팀은 선심사와 7월에 진행되는 심화과정 참여 우대 혜택이 주어진다. 

네이버,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 서울·경기·부산교육청과 협력

네이버가 경기도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과 함께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을 활용한 미래형 교육환경 조성에 앞장선다. 네이버는 지난 4월 28일에 경기도교육청과, 29일에는 부산광역시교육청, 30일에는 서울특별시교육청과 업무협약을 각각 체결했다.

네이버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은 다양한 웹(web)기반 서비스들을 웨일 브라우저 상에서 제공하고, 사용자는 웨일 계정 하나로 모든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여타 플랫폼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솔루션’ 형태로 탑재할 수 있다. 웨일 브라우저에 탑재된 화상회의 솔루션 ‘웨일온’이 대표적인 예다.

특히, 네이버는 웨일 스페이스 플랫폼을 교육분야에 특화한 '웨일 스페이스 for Education'을 통해 선생님과 학생들이 사용할 수업용 도구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수업 목적에 맞춰 선생님이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연동 프로그램, ▲즐겨찾기 등을 미리 일괄 설정할 수도 있어, 학생들이 수업을 위해 별도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브라우저를 설정하지 않아도 동일한 수업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 특히 네이버는 웨일 스페이스 for Education을 통해 만들어지는 교육 관련 데이터를 교육청에 제공한다. 

kuh@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