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은 LS 회장, 첫 현장 경영..."세계로 뻗어가는 대항해 닻 올려"

강원도 동해항서 해저케이블 포설선 'GL2030' 취항식 개최

기사승인 2022-04-21 14:23:06
- + 인쇄
구자은 LS 회장, 첫 현장 경영...
구자은 LS그룹 회장(가운데)이 LS전선 동해사업장을 방문해 현장에서 직원들을 격려하고 보고를 받고 있다.   LS그룹

구자은 LS그룹 회장이 취임 후 첫 현장 경영 활동으로 LS전선 해저케이블 공장이 있는 강원도 동해항을 찾았다.

구 회장은 21일 동해항에서 LS전선이 개최한 해저 전력 케이블 포설선 'GL2030'(Global Leading 2030) 취항식에 참여했다. 포설선은 케이블을 싣고 해저에 설치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 있는 배다.

GL2030은 GL마린 해저케이블 전용 포설선이다. LS전선은 매해 급성하는 국내외 해상풍력사업을 준비하고 기존 해저케이블 생산뿐만 아니라 해저 전문 시공 역량까지 토털 솔루션을 확보하기 위해 GL2030을 건조했다.

구 회장은 이날 "LS는 세계적인 해저케이블 생산 메이커에서 나아가 해저 전문 시공 역량까지 겸비하여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서 세계로 뻗어가는 대항해의 닻을 올리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신재생 에너지 전송, 효율적 에너지망 구축에 기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한 차원 끌어올림과 동시에 지구촌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당당히 한 몫을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저케이블 생산과 시공 역량을 모두 갖춘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럽 소수 업체에 불과하다. 시공 역량은 해저케이블 사업의 총아로 불린다.

대형 포설선인 'GL2030'은 선박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 제어하는 시스템을 장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포설시 정확성을 높이고, 바람과 높은 파고 등 기후 변화에도 선박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LS전선은 지난 3년간 아시아권에서 총 8000억원 규모의 해상풍력용 해저케이블 공급권을 따냈다. 올해 초 북미에서도 3500억원 규모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대규모 해외 수주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향후 'GL2030'을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사업에도 투입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GL2030'은 우선 다음 달부터 한 달간 전남 해남군 화원면과 신안군 안좌도 사이 약 7km를 해저케이블로 잇는 데 투입된다. 향후 서남해의 해상풍력발전소의 발전된 전력을 육지로 보내기 위한 계통 연계다.

LS전선 관계자는 "그동안 해외에서 포설선을 대여하며 일정 조율 등의 어려움이 많았다"며 "포설선을 직접 운영하게 되면 공기 단축은 물론 시공 노하우를 축적,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은식 기자 eunsik80@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