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C&C, 미래 비전 선포…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 ‘솔루어’ 공개

기사승인 2024-03-12 12:35:50
- + 인쇄
SK C&C, 미래 비전 선포…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 ‘솔루어’ 공개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디지털 원(Digital ONE) 2024’ 행사에서 윤풍영 SK C&C 사장이 키노트스피치를 하는 모습. SK C&C

SK C&C가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인공지능(AI) 서비스 회사’로 거듭나겠다며 새로운 솔루션을 공개했다.

SK C&C는 12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디지털 원 2024’ 행사를 열었다. 기업 맞춤형 엔터프라이즈 AI로 기업의 업무 혁신과 비즈니스 가치 창출을 이끄는 새로운 해법을 제시하는 자리다. 국내 주요 기업의 CIO·디지털 경영·기획·사업 전문 인력 등 500여명이 참석해 각사에 맞는 최적의 AI DX 해법을 모색했다.

윤풍영 SK C&C 사장은 이날 키노트 스피치를 통해 회사의 미래 비전으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AI 서비스 회사가 되겠다고 선포했다. 생성형 AI를 고객에게 맞춤으로 제공하며 고객의 일반 업무와 전문 업무 작업을 지능화하고 고객 클라우드 시스템에 생성형 AI를 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았다.

윤 사장은 “생성형 AI 기술의 획기적 발전과 함께 그린 트랜지션(Green Transition)의 도래, 지정학적 변화와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변화의 메가 트렌드 속에서 현재의 DX를 뛰어넘는 ‘엔터프라이즈 AI 혁신 시대’가 왔다”고 강조했다.

SK C&C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ESG, 디지털 팩토리 등 디지털 사업 및 서비스 전반에 AI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대비책들을 대거 선보였다. 이날 산업 및 고객 맞춤형 AI DX 성공을 위한 열쇠로 엔터프라이즈 AI 솔루션 ‘솔루어’를 발표했다.

솔루어는 기업 업무에 맞춰 오픈AI의 챗GPT와 GPT-4,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다양한 거대언어모델(LLM)과 경량언어모델(sLLM)의 구축 및 활용을 지원한다. AI 프롬프트, 사내 데이터 저장소, AI 오케스트레이터 등 자체 개발한 데이터 활용 최적화 기술들을 탑재했다. 외부 LLM과 기업 내부의 정보 검색 시스템을 실시간 결합하는 검색증강생성(RAG) 기술로 AI 정확도도 높다.

솔루어에 기본 탑재된 AI 채팅 서비스 ‘마이챗’은 재무 정보나 시장 동향 파악, 보고서 작성과 요약, 번역 등을 지원한다. 금융권 AI 상담서비스에도 적용된 AI 채팅은 은행이나 보험사 고객이 요청하는 내용에 대한 질문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상담 결과와 근거 문서를 함께 제공한다. 코딩, 인사, 재무·회계, 법무, 규제준수, 구매·물류, 생산관리, 연구개발(R&D), 정보기술(IT) 개발, 마케팅, 고객관리 등 직무별로 특화된 AI서비스도 지원한다.

박준 SK C&C DX 부문장은 “솔루어를 시범 적용한 결과, 콜센터 업무 효율은 50% 이상 개선됐고, 기업 내부 정보 검색에서는 1차 검색 만족도가 95%에 이르렀다”고 소개했다. 이어 △AI 코딩을 통한 개발 생산성 향상과 보안 강화 효과 △일주일 이상 걸리던 제조 현장 설비 장애 대응 및 보고서 작성 1시간 이내로 단축 등을 강조했다.

엔터프라이즈 AI와 클라우드 조합 해법도 소개했다. 솔루어와 연계해 AI 서비스 전개를 위한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도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업별 클라우드 환경에 맞춘 고객 기업 특유의 생성형 AI 선택과 적용을 지원한다.

기업의 그린 트랜지션을 지원할 국내 유일의 디지털 ESG 종합 솔루션 ‘코드그린(CodeGreen)’도 처음 선보였다. 기업들은 코드그린을 통해 자신에 맞는 디지털 ESG 경영 체계를 더 쉽고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SK C&C는 디지털 컨설팅 자회사인 ‘애커튼파트너스’의 ESG 컨설팅을 시작으로 △ESG 종합 진단 플랫폼 ‘클릭(Click) ESG’ △탄소감축 인증·거래 플랫폼 ‘센테로(Centero)’ △스콥3(Scope3) 수준의 탄소 배출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탄소 여권 플랫폼’으로 엔드 투 엔드 ESG서비스를 언제든 바로 제공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