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잇따른 대구···결국 ‘관리지역’ 지정

기사승인 2022-08-03 10:22:48
- + 인쇄
미분양 잇따른 대구···결국 ‘관리지역’ 지정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 투시도.   사진=현대건설 제공

대구가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신규 선정됐다. 앞서 지난 6월말 규제지역에서 해제됐지만 미분양 물량이 계속해서 쌓이자 정부가 관리에 나선 것이다.

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대구 달서구, 중구, 동구, 남구 4곳이 오는 5일부터 다음 달 말까지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동구를 제외한 3곳은 미분양 해소 저조와 미분양 우려가 원인이었고 동구는 해소 저조에만 해당됐다.

미분양 관리지역의 특징은 공급 물량 조절이다. 사업자가 해당 지역에서 주택을 공급 사업을 위해 부지를 매입할 경우 분양보증 예비심사 등 다소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신규 물량을 억제하고 그 사이에 기존 물량을 해소한다는 뜻이다.

대구는 지난 6월말 수성구를 제외한 주요 지역들이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며 수요를 촉진을 유발했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뒀다. 국토교통부의 6월 주택 통계 조회 결과 대구 미분양 주택은 모두 6718가구로 전국 미분양 주택의 24%를 차지했다. 이는 수도권 전체 미분양 주택 수(4456가구)보다 1.5배가 넘는 수치다.

잇따른 미분양에 건설사들도 중견, 대형 가릴 것 없이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가 967가구 모집 가운데 1~2순위 청약자 244명 미달을 기록했고 태왕이앤씨의 ‘태왕아너스 프리미어’도 134가구 모집에 33가구만 신청했다.

특히 두 아파트는 규제지역 완화 이후 분양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전 타입 미달을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이진우 부동산자산연구소장은 “대구 분양 시장 침체는 적어도 2~3년간 지속될 것”이라며 “올해 아직 2만여 세대의 분양 물량이 남아있는데 수요가 없어 분양이 완료되기는 힘들 듯하다”고 설명했다.

지역 내 공인중개사 관계자도 “금리 인상으로 청약 수요가 감소한 상황에서 공급량만 늘고 있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한편 공급 과잉 지적과 관리지역 지정에도 대구에 물량은 계속해서 풀릴 예정이다. 직방에 따르면 8월 대구 지역에서만 신암동 동대구역 하늘채 1542가구 등 모두 4개 단지 3204가구가 일반분양 공급이 계획됐다.

김형준 기자 khj0116@kukinews.com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