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허 불이익 땐 감당 어려운 행동 돌입”…의협 총파업 투표

의협 ‘제1차 비대위 회의’ 개최
파업 여부 모든 의사 회원 투표로 결정
“전공의·의대생 법적 보호 ”…대형로펌 계약 고려

기사승인 2024-02-18 00:25:31
- + 인쇄
“면허 불이익 땐 감당 어려운 행동 돌입”…의협 총파업 투표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7일 서울 용산 회관에서 ‘제1차 비대위 회의’를 개최하고 회의 결과를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신대현 기자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정부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해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첫 회의를 연 가운데, 집단행동(파업) 여부를 전 의사 회원 투표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집단행동에 나선 전공의(인턴·레지던트) 등에게 피해가 발생하면 “의사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간주해 감당하기 어려운 행동에 돌입한다”고도 했다.

의협 비대위는 17일 오후 서울 용산 회관 대강당에서 ‘제1차 비대위 회의’를 개최했다.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의료계 단체행동의 시작과 종료는 전 회원 투표로 결정하기로 결의했다”며 “비대위는 정부의 무모한 정책 추진에 항의하는 전국 대표자 비상 회의와 규탄 대회를 오는 25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 명의 의사라도 이번 사태와 연관해 면허 관련 불이익이 가해지면 의사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간주하고 감당하기 어려운 행동에 돌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이른바 ‘빅5병원’으로 불리는 서울 대형병원(서울대·서울아산·삼성서울·세브란스·서울성모병원) 전공의 전원이 오는 19일까지 사직서를 내고 20일부터 근무를 중단한다고 예고했다. 의협 비대위원에 이름을 올린 박단 대전협 회장은 이날 회의엔 참석하지 않았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 역시 지난 16일 밤 비대위 임시총회를 열고 20일을 기점으로 동맹(집단) 휴학과 이에 준하는 행동을 개시하기로 했다.

의협 비대위는 전자투표 방식으로 단체행동 시작과 종료 시점에 대한 전 회원의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주수호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전 회원을 대상으로 전자투표를 하려면 회원들로부터 정보공개 동의를 받는 절차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가능한 일은 아니다”라면서 “의결 정족수에 대한 의견부터 우선 물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의협 선거권은 원래 회비를 낸 회원만 가질 수 있지만, 이번 전자투표의 경우엔 회비 납부 여부와 상관없이 전체 의사 회원을 대상으로 한다.

“면허 불이익 땐 감당 어려운 행동 돌입”…의협 총파업 투표
주수호 의협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은 17일 브리핑을 통해 단체행동에 돌입할 시 하루 휴진이 아닌 무기한 휴진인 점을 분명히 했다. 사진=신대현 기자


의협이 말하는 단체행동은 하루 휴진이 아닌 ‘무기한 휴진’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주 위원장은 “우리가 말하는 단체행동이란 정부가 확고하게 의료계를 밀어붙였을 때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종적인 끝장 투쟁, 즉 파업을 얘기하는 것”이라며 “전공의와 의대생의 행동에 맞춰 이뤄질 수 있는 개원의 휴진이나 전국 집회 등은 비대위 상임위원회가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전공의들의 사직, 의대생들의 휴학에 대해선 “지지한다”며 “도움의 손길을 내밀겠다”고 했다. 이들에 대한 법률 지원 등을 위해 대형 로펌과 접촉할 계획도 밝혔다. 주 위원장은 “의대생들과 전공의들을 보호하기 위해 각 대학병원의 고문 변호사들과 개별 협의 절차에 들어갔다”며 “현재 의협이 갖고 있는 법률 구조단이나 변호사 수로는 미약하다는 의견이 나와 오늘 회의에서 대형 로펌과 의료계 간 계약관계를 맺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철회하고, 이를 원점에서 다시 논의할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정부에 요구했다. 주 위원장은 “정부의 정책적 판단을 받아들일 수 없어 전공의나 의대생이 자율적 판단 하에 항의하는 것인데 명령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해서 의사들을 감옥에 보내는 게 타당한 일인가”라며 “정부가 거짓말을 중단하고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을 거둬들여야 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협 비대위는 전 회원 투표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규탄 집회 등 단체행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오는 25일 전국 시군구 의사단체 대표 등이 참여하는 비상회의와 정부 규탄 대회를 열고, 내달 중 전국 집회를 추진키로 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면허 불이익 땐 감당 어려운 행동 돌입”…의협 총파업 투표
기사모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