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메르스 환자들이 거쳐 간 병원과 지역 등 정보를 공개하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비공개를 고집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이를 공표하는 것보다 공표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것이다.
29일 카카오톡 등 SNS에는 “A지역에 지금 메르스 바이러스 확진자들이 좀 나왔는데”, “당분간 B병원 가지 마세요. 6번 환자가 오늘 새벽 C병원 거쳐 B병원 왔다가 메르스 확진받았답니다”, “B병원 근처엔 안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등의 내용을 담은 글이 떠돌아다녔다.
이 글은 “손발 등 잘 씻고 외식은 하지 마세요”, “밖에서는 양치도 하지 마세요”,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긴급재난 1호 상황이라고 실시간 뉴스 뜨고 있답니다” 등 확인되지 않은 정보도 사실인 양 담고 있다.
이 같이 확인되지 않은 내용이 사실처럼 퍼지고 있는 것은 보건당국이 환자 발생 지역이나 환자가 거쳐 간 병원에 대해 공개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건당국은 계속해서 비공개를 고집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서 이를 공표하는 것보다 공표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당국 관계자는 “병원의 이름을 공개하면 치료를 받아야 할 다른 환자들에게 공포감을 줄 수 있다”며 “환자들이 혼란스러워하고 꼭 치료를 받아야 할 환자가 적기에 치료를 못 받게 될 수도 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이름 공개를 안 하는 것은 환자 내원을 막을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뜻도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이름을 공개해서 얻는 이익보다 공개하지 않아서 보는 손해가 더 작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병원을 공개할 경우 해당 병원이 신고를 꺼릴 수 있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병원이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오히려 방역체계에 더 큰 구멍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보건당국이 소문에 등장하는 병원이 어디인지에 대해 함구하고 있는 만큼 사실이 맞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지만, 적어도 떠돌아다니는 글의 상당 부분은 과장되거나 사실과 다른 내용이다.
접촉만으로 감염된다거나 외식은 되도록 하지 말고 양치도 밖에서 하면 안된다는 등의 소문은 메르스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와 거리가 멀다. 해외에서 우리나라가 긴급재난1호 상황이라는 뉴스가 뜬다는 것도 사실 무근이다. 에볼라나 사스보다 심각할거라는 예상도 현재로서는 지나치다.
복지부는 다만 소문 중 감염 환자가 거쳐 간 일부 병원에서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전원 조치됐다는 부분은 인정했다.
권준욱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29일 브리핑에서 “해당병원의 의료진이 밀접 접촉자로 격리가 돼 있고 다른 의료기관으로 전원을 요청하시는 환자분들도 있어서 환자를 안전하고 적절하게 진료 받을 수 있게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메르스의 국내 최초 감염자인 A(68)씨가 입원했던 한 병원의 경우 간호사 27명과 의사 4명이 자가 격리되면서 환자 50~60명을 인근 병원으로 옮기거나 귀가시켰다.
권 국장은 “(환자가 지나간 병원에 대해) 좀더 정밀한 조사를 취한 후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며 “유언비어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대처하되 전파경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전문가와 함께 적극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epi0212@kmib.co.kr
[쿠키영상] 강 건너던 사자의 뒷목을 물고 늘어지는 악어의 일격
[쿠키영상] 야구장서 아빠 잃은 소년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구' 영상... 조시 해밀턴 복귀로 재조명
[쿠키영상] ""낚시 못하면 고양이를 키워보세요~"" 강에서 포인트 옮기며 물고기 낚아채는 고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