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부산지역 조선산업 발전전략’ 마련 1070억 투입

부산시, ‘부산지역 조선산업 발전전략’ 마련 1070억 투입

기사승인 2018-04-25 11:08:11

부산시가 조선사업 연착륙 지원과 성장기반 강화, 미래시장 준비 등 지역 조선해양 설계, 기자재, 기술개발 등 지식기반 서비스 분야 집중 육성에 나선다.

부산시는 장기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선산업의 연착륙 지원과 성장기반 강화, 미래시장 선점 등의 3대 전략을 통해 지역 조선산업 발전시키겠다는 ‘부산지역 조선산업 발전전략’을 25일 발표했다.

이는 제15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한 정부의 ‘조선산업 발전전략’에 따른 것으로 3대 전략과 6대 추진과제로 구성돼 있다.

우선 위기에 처한 조선산업의 연착륙 지원과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을 강화하며, 패러다임 변화 대응, 연구 인프라를 부산에 집중 유치해 미래 선박시장 선점의 교두보를 마련한다.

첫째, ‘지역 조선산업 연착륙 지원’을 위해 조선업 구조개선 펀드(200억)의 투자설명회 개최 등을 통한 지역기업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정부의 LNG연료추진 관공선 발주계획과 연계해 시 관공선이 대상선박으로 선정되도록 대응해 일감확보를 위해 지원할 예정이다.

이 외 기자재기업의 납품단가 개선을 위해 대형조선소에서도 최저입찰제 폐지토록 업계와 함께 지속 대응하고, 고용안정을 위해 조선산업 퇴직자 재취업 지원을 위해 정부추경과 부산시 2차 추경에 13억4000만 원을 확보해 투입할 예정이다.

둘째, 지역 조선소 경쟁력강화를 위해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등 중형조선소는 정부의‘중형선박 설계 경쟁력 강화’사업과 연계해 조선소 규모에 맞는 최적의 선종·선형개발을 지원한다.

소형조선소는 지역 내 연구원과 지역 기업이 협력해 정부 R&D사업 공모에 참여를 유도할 예정이며, 지역 조선소 활성화 중장기 대책 용역방안을 검토, 레저선박은 생산기술 고도화를 통한 글로벌 시장개척을 지속 지원한다.

셋째, ‘조선해양 설계엔지니어링 집중 육성’을 위해 부산이 가지고 있는 강점의 기업 및 연구 인프라를 더욱 확대하기 위해 올해 5월부터 중소형 고속선박 설계지원센터 구축사업을 신규로 시행 한다.

또 중형선박 설계경쟁력 강화 정부사업을 상반기 중에 유치할 예정이며, 해양플랜트엔지니어링 클러스터를 추가로 확대 추진한다.

넷째, ‘상생성장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현재 구성 운영 중인 상생협의회를 통해 협업과제 발굴 및 기업애로 해소 등 성과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대형조선사 보유기술 중 중소기업에 이전할 수요를 파악해 지역 기업에 이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다섯째, ‘조선산업 패러다임 변화대응, 미래시장 선점’을 위해 IMO(국제해사기구) 환경규제 강화로 기자재 수요확대가 전망되는 LNG 등 가스연료추진선박과 세계 각국이 경쟁이 치열한 스마트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핵심 연구시설을 지역에 유치해 부산이 미래선박기술의 중심도시가 된다는 전략을 추진한다.

현재 추진 중인 ‘가스연료추진 조선기자재 기반구축사업’과 올해 유치 확정된 ‘LNG벙커링 기자재 시험평가 설비 및 시험기술 개발사업’사업에 이어 새로 ‘자율운항선박 시운전 관제센터 구축사업’ 유치에 나선다.

마지막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통한 위기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의 신북방 정책과 연계 지역 기업의 진출을 지원하고, 내년부터 해외프로젝트 기반 수주 타당성조사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11월 중 국제조선해양기자재컨퍼런스를 개최해 선박 애프터마켓(A/M) 글로벌 시장 진출 선언과 동시에 본격적인 진출방안을 모색해 볼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전략을 통해 올해부터 신규로 7개 사업에 1070억 원(국비 623, 시비 407 민자 40)이 추가로 투입될 예정이며, 부산지역을 조선산업에서 설계, 기자재, 연구시설의 세계적인 메카로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강민한 기자 kmh0105@kukinews.com

 

강민한 기자
kmh0105@kukinews.com
강민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