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약개발 및 비용 단축에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뤄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 향후 3년간 258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의 핵심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인공지능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 특히 정부는 기술개발의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우선적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의약품 시장은 2015년 기준 1200조원 규모로, 이른바 ‘블록버스터’ 신약은 연매출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일례로 글로벌 제약사 애브비가 개발한 관절염치료제 ‘휴미라’의 연매출은 18조원에 달한다.
그러나 신약개발에는 1조원 이상의 연구개발 비용과 15년이란 긴 기간이 요구된다. 이는 제한적 규모의 국내 제약사에게 있어 진입장벽으로 작용해왔다.
따라서 최근 진입장벽 극복을 위한 전략 중 하나로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고 것. 정부는 우리나라가 그간의 R&D를 통해 축적된 연구데이터 및 병원 진료정보 등의 우수한 의료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고, 축적된 데이터와 정보통신기술(ICT)을 인공지능에 활용, 국가 신약개발 역량이 한 단계 도약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관련해 앞서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통해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계획을 발표했었다. 이번 사업은 이에 대한 후속 조치로, 정부는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개발의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이 첫 단계이며, 이후에는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된다. 특히 재창출된 신약은 기존 임상 허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됐던 터라 추가 임상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또 의약품의 시판 후 면역항암제 빅데이터 집중 학습을 통해 약물 이상 반응의 조기 예측과 및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도 구축키로 했다.
이러한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하는 한편, 개발된 인공지능 플랫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맡는다.
정부는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신약개발 기간이 기존 15년에서 최대 7~8년까지 단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의 활용을 위해 공개된다. 사업 종료된 후에는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 플랫폼이 계속 최신화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기로 했다.
고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는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의 시기가 될 것”이라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의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