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 원인 뇌에서 찾았다… 한의학硏-하버드의대 공동연구

섬유근육통 원인 뇌에서 찾았다… 한의학硏-하버드의대 공동연구

기사승인 2015-08-13 12:21:55
[쿠키뉴스=박주호 기자] 우리나라와 미국 공동 연구진이 ‘온몸이 쑤시고 아픈’ 통증에 시달리면서 꾀병으로 오해를 받아온 섬유근육통의 원인이 뇌 신경망에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3일 한국한의학연구원(KIOM)은 임상연구부 김지은 박사가 하버드 의대 비탈리 나파도우 교수와 함께 섬유근육통 환자의 뇌 신경망이 정상인과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기법으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침의 치료 효과 규명을 위한 국제 공동연구에 앞서 진행된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미국류마티스학회지’(Arthritis and Rheumatism, 5월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통증이 없는 성인 정상군 14명과 섬유근육통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fMRI를 통해 뇌의 기능적 연결망(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차이를 비교·분석했다.

먼저 인체에 통증이 발생했을 때 통증을 자각하고 이 정보를 뇌에서 일차적으로 처리하는 뇌 영역인 일차체성감각피질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정상군은 외부에서 통증이 가해져야 일차체성감각피질 간 연결 상태가 감소한 반면 섬유근육통 환자는 외부 자극이 없는 안정상태에서도 전반적인 일차체성감각피질 간의 연결 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처럼 정상인에서는 통증이 유발됐을 때 뇌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기능적 연결 감소 현상이 섬유근육통 환자에서는 안정상태에서 관찰되는 이유를 섬유근육통 환자의 주된 증상인 만성 전신성 통증 때문으로 해석했다.

연구진은 이어 섬유근육통 환자가 대표적으로 느끼는 통증인 근육통을 실험군에 유발한 후 통증 자각과 함께 통증의 감정적 부분을 처리하는 뇌의 영역인 앞뇌섬 피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섬유근육통 환자는 일차체성감각피질과 앞뇌섬 피질 사이에 기능적 연결망의 연결 상태가 통계적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섬유근육통 환자의 통증 정도와 통증에 대한 공포감이 클수록 섬유근육통 환자의 일차체성감각피질과 앞뇌섬 피질 사이에 기능적 연결망의 연결 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뇌 신경망의 이런 차이가 만성적 통증으로 인해 생긴 것인지, 아니면 뇌 신경망의 기질적 차이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김지은 박사는 “섬유근육통은 우리나라 인구의 2~4%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섬유근육통 환자의 변화된 뇌 기능적 연결 상태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방법을 통해 섬유근육통을 치료할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의미를 설명했다. epi0212@kmib.co.kr


[쿠키영상] “가엾은 거~ 이제부터 어미 해줄게”

[쿠키영상] '몸이 반으로 뜯긴 여성'…신기한 보디 페인팅

[쿠키영상] 택시 홍수아 '쌍꺼풀+래미네이트' 성형 고백..."추자현은 중국 여신! 출연료 회당 1억""
epi0212@kmib.co.kr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