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적 임상 사라진 한국

공익적 임상 사라진 한국

기사승인 2016-03-15 10:24:58
"한 해 열리는 임상시험 미국·영국보다 많아
대부분 제약사에 유리한 임상
정부 지원 부족하자 의사도 포기

[쿠키뉴스=김단비 기자] 임상시험에 대한 환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서울의 주요 대형병원이 임상시험에 참여할 환자를 모으고 관리하는 센터를 따로 운영하고 있다. 과거에는 임상시험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참여자를 모으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차세대 항암제 임상시험은 암환자들 사이에서 ‘하늘의 별 따기’라고 불릴 만큼 참여하기 어렵다는 얘기도 있다. 그러나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국내 성행하는 임상시험 대부분이 시판허가를 받기 위한 제약사 주도의 임상시험이기 때문이다. 병원 관계자는 “신약 허가를 위한 임상이라 제약사 개입이 심한 편”이라고 말했다.

◆공익적 임상 사라진 한국

임상시험이 많이 진행되는 나라는 어디일까. 지난 2014년 우리나라가 의료·제약 강대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 영국을 앞서고 1위로 올라섰다. 임상시험이 가장 많이 진행되는 나라지만 이를 관장하는 의사들의 목소리가 밝지만은 않다. 열리는 임상 대부분이 제약사 주도형 임상이라는 것이다. 즉 제약사에서 개발 중인 약물의 효능을 검증하는 데 유리하게 설계된 임상이라는 것이다.

이와 반대의 개념이 공익적 임상이다. 시장에 나와 있는 기존 약물의 효능을 서로 비교해 우월성을 따져보는 실험이 그 예다. 이러한 공익적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가 없다고 밝혀진 약물은 자연히 시장에서 사라지고 효과적인 약물에 대한 빠른 보험급여 전환이 가능하다. 강윤구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외부(제약사)의 의뢰 없이 연구자 독립적으로 진행되는 임상시험은 더 나은 치료법을 발견하는 기회”라며 “공익적 임상시험을 통해 얻은 정보로 불필요한 치료로 인한 환자들의 고통과 건강보험 재정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국가에도 이득”이라고 말했다.

국내 공익적 임상시험의 수는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런 배경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공익적 임상시험에 대한 부족한 국가 지원책을 이유로 꼽았다. 공익적 임상시험에 필요한 약물과 자원을 임상시험을 설계한 의사 개인의 몫으로 맡겨진 상황에서는 공익적 임상시험을 늘어날 수 없다고 말한다.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는 의료진에게 재정적 후원을 하며 공익적 임상시험을 유도하고 있다. 공익적 임성사험은 기존 치료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일례로 허가 당시에는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환자는 약을 1년간 복용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이었는데, 6개월간 복용한 환자와 1년간 복용한 환자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이 임상시험을 통해 드러나면 환자는 6개월만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치료안이 바뀔 수 있다. 제약사 입장에서는 이익이 절반으로 줄어들지만 환자는 복용스트레스가 절반으로 줄고 의료비도 절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강윤구 교수는 “공익적 임상시험은 공적 지원 없이는 힘들다”며 “치료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라도 미국 시스템을 따라갈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단비 기자 kubee08@kukimedia.co.kr


[쿠키영상] "인형인가?" 어미의 사랑 속에 쑥쑥 성장하는 아기 북극곰

[쿠키영상] '먹기 위해 해외여행 간다?' 이연복-박나래-김지민-유재환-스테파니 리, 폭풍 먹방 예고

악연의 시작? 유준상-신하균 불꽃 튀는 신경전 예고... 14일 '피리부는 사나이' 기대!

kubee08@kukimedia.co.kr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