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일 (금)
한국 영유아 항생제 처방 1위, 미국·독일의 3배…내성균 위험

한국 영유아 항생제 처방 1위, 미국·독일의 3배…내성균 위험

기사승인 2017-01-20 00:55:11 업데이트 2017-01-20 08:47:00

[쿠키뉴스=장윤형 기자] 우리나라의 영유아들이 만 2살이 되기까지 1인당 연평균 3.41건의 항생제를 처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이나 독일보다 평균 약 3배 높은 비율이다.  

박병주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은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연구팀 등과 공동으로 세계 6개국(한국, 미국, 독일,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페인)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1인당 항생제 처방 건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08∼2012년 사이 6개국에서 항생제를 한 번이라도 처방받은 적이 있는 만 2세 이하 영유아 총 7400만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조사결과 한국 영유아의 항생제 처방 건수는 1인당 3.41건으로 비교 대상국인 이탈리아(1.50건), 스페인(1.55건), 미국(1.06건), 독일(1.04건), 노르웨이(0.45건)를 압도했다. 

특히 한국은 기본적인 1차 항생제로 평가받는 ‘페니실린’ 처방률도 한 자릿수인 9.8%로 꼴찌였다. 반면 다른 나라의 페니실린 처방률은 노르웨이 64.8%, 독일 38.2%, 미국 31.8%, 스페인 27.7%, 이탈리아 16.5% 등으로 한국보다 훨씬 높았다. 한국의 페니실린 처방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은 페니실린에 내성을 가진 균이 많아 이보다 독한 항생제를 처방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항생제 오남용이 많아지면 내성이 생긴다. 따라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항생제를 쓰지 않거나 사용하더라도 최대 효과를 거두는 방법으로 적절히 사용해야만 내성균이 나타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내성균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슈퍼 박테리아에 대응할 수 없어 생명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 

박병주 서울대의대 교수는 “이번 조사결과를 통해 여전히 한국의 항생제 오남용 비율이 선진국과 비교해 심각한 수준”이라며 “의사나 환자 모두 항생제 사용에 대한 경각심을 갖고 의식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newsroom@kukinews.com

장윤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T1, 1라운드 5승4패 마무리…DN, 9연패 수렁

T1이 DN 프릭스를 꺾고 상승 곡선을 그린 채 1라운드를 마쳤다.T1은 2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세트스코어 2-0으로 승리했다.연패를 막은 T1은 1라운드를 5승4패로 마치며 2라운드 반등의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DN은 2023 LCK 서머 2라운드 이후 처음으로 라운드 전패 수모를 겪었다.양 팀은 1세트 난전을 벌였다. DN은 2용, T1은 5유충을 획득했다. 여기서 T1이 한발 앞서갔다. 18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