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8일 (일)
국민권익위, 정부보조금 부정수급액 580억원 환수

국민권익위, 정부보조금 부정수급액 580억원 환수

기사승인 2017-07-26 22:31:00 업데이트 2017-07-26 22:31:09

[쿠키뉴스=양병하 기자] ‘정부합동 복지부정 신고센터’가 지난 2013년 10월 설치된 이후 올해 5월까지 복지·보조금 부정신고센터에 접수된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신고사건은 총 1130건이며, 적발금액 679억원 중 환수액은 총 58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신고사건 조사결과, 관련자 534명이 형사처벌을 받고, 관련 공무원 107명이 징계 등 행정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박은정위)는 이와 같은 내용의 ‘정부 복지·보조금 부정수급 신고사건’ 분석결과를 26일 발표했다. 보건복지 분야가 640건(56.6%)로 가장 많고, 고용노동 156건(13.8%), 산업자원133건(11.8%), 농축산식품 57건(5.0%), 건설교통 43건(3.8%)의 순이었고, 이 5개 분야의 신고 건수가 전체 신고의 91%를 차지했다. 신고사건이 가장 많은 보건복지 분야는 기초생활급여 187건(29.2%), 복지시설·요양급여 각 124건(19.4%), 어린이집 120건(18.8%) 순으로 많았다.

   또 소득이나 취업사실 등을 숨기고 기초생활급여 등을 부정하게 지원받은 사례가 289건(20.3%)으로 가장 많았고, 기성 제품을 신규 기술개발 제품으로 조작하거나 어린이집 원아나 교육생 등의 출석부를 허위로 작성해 보조금을 부정수급한 사례가 237건(16.6%)으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연구원, 보육교사 등 직원 허위 등록이 218건(15.3%), 보조금 을 당초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사적용도로 사용한 사례가 187건(13.1%),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 및 증빙서류 허위 작성 등 정산서류 조작이 152건(10.6%) 등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특히 중소기업 등에 지원되는 기술개발 등 각종 R&D사업에 대한 연구비 횡령(편취)관련 신고 사건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에서 조사기관에 이첩한 R&D사업 관련 신고사건을 보면, 2014년에는 4건, 2005년 37건, 2016년에 53건으로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민권익위 관계자는 “부정수급 행위 신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복지 및 보조금 부정수급에 대한 집중신고기간을 운영하고, 다양한 홍보활동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라며 “이에 따라 부정수급 금액 580억원을 환수하는 등 공공재정누수 차단에 큰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한편 누구나 국민권익위에 각종 보조금 부정수급 신고를 할 수 있고, 신고한 사람에게는 환수된 금액에 따라 최대 30억원의 보상금 또는 최대 2억원의 포상금이 지급된다.

 

md5945@kukinews.com

양병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신사vs숙녀 ‘반상 드라마’ 지지옥션배 예선 종료…관심사는 ‘와일드카드’

매주 월~화 오후 7시 경기를 펼쳐 ‘반상의 월화 드라마’로 불리는 ‘지지옥션배 신사 대 숙녀 연승대항전’이 예선을 마치고 19번째 대회의 힘찬 첫걸음을 시작했다.18일 쿠키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신사팀과 숙녀팀 모두 총 12명의 선수단 중 11명의 구성을 완료했다. 신사팀은 랭킹 시드를 받은 조한승·목진석·최명훈 9단을 필두로 이창호·유창혁 9단 등 8명이 예선을 뚫었다.숙녀팀은 최정·김은지·오유진 9단이 본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