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심한 주택 대신 상업용 부동산으로 '이동'…땅·상가 거래 최대

규제 심한 주택 대신 상업용 부동산으로 '이동'…땅·상가 거래 최대

기사승인 2018-01-18 05:00:00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 강화로 갈 곳 잃은 부동 자금이 상업용 부동산으로 흘러들어 가고 있다. 지난해부터 정부가 아파트 시장을 전방위적으로 옥죄자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업용 부동산으로 투자자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 중에서도 투자자들이 상가와 토지에 몰리면서 역대 최대 거래량을 기록했다. 올해도 규제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감정원 부동산거래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11월까지 상업업무용 부동산은 총 34만7047건이 거래됐다. 이는 관련 통계치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역대 최고치다. 전년 동기 대비 11만5589건(49.9%) 늘어난 수준이며, 2016년 연간 거래량 보다 8만9170건(34.6%) 증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보다는 경기도 지역의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1~11월 경기도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11만1791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4만4731건(66.7%) 늘어났다. 서울은 같은기간 2만98건(40.4%) 증가한 6만9903건을 기록했다. 특히 서울은 지난해 11월 누적 주택 거래량이 25만5527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5342건(2.0%) 줄어든 상황에서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크게 늘었다.

월별로 보면 상반기보다 주택 규제가 쏠렸던 하반기에 더 많은 거래가 이뤄졌다. 지난해 1월 2만3000여건에서 시작된 거래량은 꾸준히 상승해 역대급 규제책이라 일컫는 '8.2대책'이 나왔던 8월에 상업용 부동산은 3만8118건으로 최대치를 찍었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 중에서도 토지 시장에 훈풍이 불었다. 실제 지난해 토지 매매거래량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월부터 11월까지 총 301만8475필지가 거래되면서 지난 2006년 이래 같은 기간 거래량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1%(29만9478필지)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 경기도가 81만1039필지로 가장 많았고 서울 35만2056필지, 경남 22만9255필지, 경북 20만1120필지, 충남 17만8685필지, 부산 17만1620필지 등의 순이었다.

토지 경매시장도 뜨거웠다. 2년 연속 68%대 머물던 토지 경매 낙찰가율은 2017년 들어 7.1%포인트 상승한 76.0%를 기록했다. 7년 만에 낙찰가율 70%를 돌파한 것이다. 토지는 이같은 투자자들의 열기에 힘입어 가격도 상승세다. 지난해 전국 땅 값 상승폭(2017년 11월 누적 기준)은 전년(2.70%)보다 더 큰 3.548%로 집계됐다.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다.

또 지난해 상가시장에는 뭉칫돈이 대거 몰렸다. 거래량이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데다 신규 분양도 크게 늘었다. 상가정보연구소가 분석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작년 전국 상가거래량은 총 31만17건을 넘어섰다. 이는 전년(25만7877건)보다 약 20% 증가한 수준이다.

지난해 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급증한 이유는 정부의 잇단 주택시장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로 풀이된다. 저금리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유동자금이 부동산시장에서 규제 사각지대인 상업용 부동산으로 몰렸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역시 수익형 부동산 거래량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택시장에서 신DTI,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의 굵직한 규제가 시행되는데다 입주물량 과잉 등 주택시장을 압박하는 여러 악재가 많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에도 주택시장에 규제를 가하자 수익형 부동산으로 시중 자금이 옮겨가는 모습을 보였다"며 "올해는 주택시장 규제가 더 심해지는 만큼 단기성 여유자금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업용 부동산으로 몰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연진 기자 lyj@kukinews.com

이연진 기자
lyj@kukinews.com
이연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