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과 같은 부실인증 사태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관리하는 농식품 인증제의 신뢰도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김종회 국회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농식품 국가인증제도에 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ㆍ유기가공식품 등 농식품 관련 국가인증제의 소비자 신뢰도는 2016년 71.5점에서 2017년 54.5점으로 급락했다. 농식품 인증제가 지금 형태로 개편된 2012년 이후 소비자 신뢰도가 50점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인증제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2016년 76.6%에서 2017년 41.7%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5%에서 25.3%로 5.6배 늘었다. 부정적 의미가 담긴 ‘보통이다’란 응답도 18.8%에서 33%로 뛰었다. 전반적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어린 자녀가 있는 30대 주부의 신뢰도가 낮았다.
농식품 인증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로는 ‘관리 부실’(31.3%)이 제일 많았고, ‘믿음이 가지 않아서’(24.1%), ‘달걀 살충제 파동으로 인해서’(9.9%)가 뒤를 이었다.
조사를 수행한 코리아리서치 측은 “살충제 달걀 파문에 따른 친환경농산물 인증제의 신뢰도 변화 조사에서 ‘신뢰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변했다’는 응답이 57.4%로 ‘변하지 않았다’는 응답 13.9%의 4배를 웃돌았다”며 “이는 사후관리 부실이 인증제의 신뢰도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농식품 인증제의 신뢰도가 하락하면서 인증마크를 단 농식품의 구매율도 떨어졌다. ‘농식품 구입 시 국가인증제를 고려한다’는 응답은 2015년 80.8%에서 2017년 63.2%로 급락했다. 지난해 조사결과와 비교했을 경우 8개 인증제 중 위생과 밀접한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해썹ㆍHACCP) 구매율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떨어졌다. ‘해썹 인증을 받은 농장의 달걀에서도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는 보도가 소비자 구매 의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김종회 의원은 “지난해 발생한 살충제 성분 검출 달걀 사태는 농식품 인증제의 관리가 부실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며 “인증제에 대한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려면 주기적인 현장검사 등 철저한 사후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농식품부 의뢰로 코리아리서치가 2017년 11월24∼28일 전국 5대도시 소비자 1200명을 대상으로, 농식품 국가인증제도 취득 물품을 판매하고 있는 서울 및 4대 광역시의 대형 할인점 출구에서 진행했다.
유범수 기자 sawaxa@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