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갤럭시S10 5G’가 출시되는 4월 5일, ‘5G’시대가 본격 상용화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SK텔레콤이 신청한 5G 이동통신요금제를 인가했다. LGU+(유플러스)와 KT도 요금제 신고를 마쳤다. 기기와 요금제가 모두 갖춰지는 셈이다. 하지만 소비자의 통신비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SK텔레콤이 내놓은 최저 5G요금제는 월 5만5000원에 8GB(기가바이트)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당초 보편요금제가 필요하다는 요구를 반영해 새롭게 내놓은 요금제다. 뒤를 이어 7만5000원에 150GB, 9만5000원에 200GB, 12만5000원에 300GB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LGU+가 선보인 5G요금제도 가격은 동일하다. 최저 5G 요금제는 월 5만5000원에 9GB를 제공하는 ‘5G 라이트’이며, 월 7만5000원에 150GB를 제공하는 ‘5G 스탠다드’. 월 9만5000원에 250GB를 주는 ‘5G 프리미엄’ 등이다. KT의 요금제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유사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5만원대 5G요금제가 제공하는 데이터량이 맛보기용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4K 초고화질(UHD) 영상이나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시청할 경우 1시간에 12.3GB 이상이 소요될 수 있어 8GB 혹은 9GB로는 연속 1시간 시청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5G서비스가 IoT(사물인터넷) 등과 반응해 각종 정보를 주고 받아야해 데이터 사용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어 5만원대 요금제로는 5G서비스를 제대로 즐기기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그렇다고 5G요금제로 LTE(4G)로도 충분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효율적이지 못하다.
결국 5G를 통해 보다 빠르게 많은 용량을, 다양한 사물과 소통하며 즐긴다고 해서 ‘초월’을 강조한 통신사들의 마케팅과 달리 평균 통신요금만 2만원 이상 증가할 뿐 별다른 서비스 차이를 느끼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나오는 이유다.
참여연대는 27일 “기존 3~4만원대 요금제를 쓰던 소비자들은 5G를 쓰지 못하게 됐다. 이를 이용하려면 요금을 더 내야한다”며 “최악의 부익부 빈인빅 요급제”라고 비난했다. 아울러 “정부가 통신의 공공성을 망각하고 기업의 이윤창출에 손들어준 결정”이라고 꼬집었다.
문재인 정부가 ‘고령층 이동통신요금 감면’, ‘월 2만원대 보편요금제 도입’ 등 가구 내 통신비 절감을 위한 정책을 펴왔디만, 5G시대가 개막하며 이런 노력이 무색해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이동통신사업자들은 5G서비스가 시행돼도 5G시대가 보편화되기까지는 상당기간 소요될 것이며 LTE요금제 사용자가 많을 것이기에 가계부담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연합뉴스를 통해 “5G 시행 초기에는 일부 ‘얼리어답터’만 이용할 것으로 예상돼 국민 다수에게 적용되는 가계통신비가 크게 오를 것이라는 우려는 과장된 면이 있는 것 같다”며 “국내 5G 요금제가 외국 기업에 비교해서는 싼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5G(5세대 이동통신)는 현재 이동통신 속도인 300Mbps의 70배, 일반 LTE에 비해 280배 빠른 수준으로 1GB(기가바이트) 영화 1편을 10초 안에 내려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경 1㎢ 이내 100만개 기기와 상호작용해 IoT(사물인터넷) 서비스도 즐길 수 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