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가 바이오·헬스분야의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문재인 정부 또한 최근 ‘바이오헬스 혁신전략’을 발표하고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연구개발(R&D)에 지나치게 치중한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 가운데 산업육성에 앞서 근본적인 인식개선과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던 김영학 서울아산병원 헬스이노베이션 빅데이터센터 소장(사진)은 16일 국민일보와 쿠키뉴스가 공동주관해 올해로 4번째를 맞이한 ‘2019 미래의학포럼(Future Medicine & Bio-Health Forum 2019)’에서 산업육성을 가로막는 장벽으로 개인건강정보의 보안과 보호, 여기서 파생된 의료영리화 등 부정적 인식이라고 지목했다.
그리고 바이오·헬스산업이 진일보하기 위해서는 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의료기관과 정부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의 전제는 병원이나 개인이 생산한 건강관련 정보의 디지털화(전자정보화)지만, 지나치게 활용만을 강조해 개인정보 등에 대한 문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김 소장은 디지털화가 주는 편의성을 강조했다. 그는 “정보의 디지털화는 반나절의 시간을 들여 병원을 오가며 한 웅큼의 종이뭉치를 복사하고, 중간에 잃어버려 다시 진료를 받아야하는 등의 불편을 간편하게 만든다”면서 “정부와 병원이 협력해 디지털화의 효용을 검증하고 알릴 때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조금은 쉬워질 것”이라고 했다.
정보 보안에 대한 고민과 함께 디지털 건강정보에 대한 표준화와 정부의 적극적인 태도도 언급했다. 그는 “보건의료의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이 만들어지려면 자료의 표준화가 이뤄져야한다. 그래야 기술의 효용을 검증하고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면서 “표준을 만드는 것은 개인이 할 수 없다. 정부가 주도하고 병원이 노력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