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수도권을 집중으로 하는 부동산정책 아래 지방 부동산시장 리스크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보도가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지방 부동산 시장 악화를 부추긴 데에는 건설사들의 책임도 크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통상 60% 정도만 분양되더라도 수익 기준점이 되기 때문에 미분양 우려에도 공급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방 부동산 시장, 대출규제 완화 등 필요”=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8일 ‘지역부동산 시장 리스크 진단 및 대응방안’ 세미나를 개최하고 지방 주택시장은 지역경기 어려움과 주택시장 악화가 금융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연구원은 최근 지방 주택시장 상황을 권역별로 분석한 결과, 아파트 실거래가 기준 충북·경북·충남·경남은 40개월 이상, 제주·울산·부산·강원·전북은 20개월 이상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이가운데 경북·경남·충북은 최고점 대비 20% 이상 실거래가가 떨어졌고 울산·충남·강원·부산은 10% 이상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허윤경 주택도시연구실장은 “모두가 서울 집값만 쳐다보는 사이 지방은 주택시장 침체로 지역경기와 가계·기업이 모두 어려운 상황”이라며 “지방의 어려움이 금융리스크로 번지기 전에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부산, 울산, 경남처럼 금융리스크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미분양 관리지역에 대해서는 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환매조건부 미분양 매입 등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건설사, 미분양 우려에도 과잉 공급=일각에선 이같은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는 단순히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규제책 때문만은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들은 건설사에게 그 책임이 더 크다고 입을 모았다. 미분양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공급을 꾸준히 해왔기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미분양주택 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주택은 총 6만2385가구다. 이중 경남의 미분양주택은 1만4078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미분양관리지역 선정에서도 부산, 울산, 경남 지자체의 선정 비율이 높았다.
이런 상황에서 부·울·경 지역의 입주 아파트는 올해를 기점으로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2016년 공급한 8만3000가구의 준공이 올해 집중됐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건설 경기가 호황이던 시절 많은 건설사들이 주택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다”며 “건설사 입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것보단 검증된 주택 건설을 해나가는 게 오히려 리스크가 적다”고 말했다.
또다른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엄밀히 손해 볼 장사는 아니기 때문에 계속 해나가는 것”이라며 “사업지나 건설사에 따라 다 다르겠지만 통상 60% 정도를 팔면 기준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형사는 덜한데 중견건설사의 경우 상대적으로 땅값이 저렴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없는 지방으로 사업을 해나간다”고 덧붙였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