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브랜드 불매 운동이 국내에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브랜드 ‘유니클로’를 운영하는 패스트리테일링의 한국 사업 실적이 악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10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패스트리테일링은 이날 2019년도(2018년 9월~2019년 9월) 한국 사업 수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패스트리테일링에 따르면 회사는 2019 회계연도 전기(2018년 9월∼2019년 2월)에는 한국에서 수익이 증가했다. 그러나 후기(2019년 3월∼8월)에는 봄 의류 판매 부진과 7∼8월 불매 운동의 영향으로 매출이 큰 폭으로 떨어졌으며 수익이 감소했다고 사측은 설명했다.
사측은 올해 9월부터 내년 8월까지 한국에서 1년 동안에도 수익이 대폭 감소할 것이라고 진단하기도 했다. 패스트리테일링이 공개한 결산 참고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해 8월 말에 한국에는 유니클로 점포가 186개 존재했다. 그러나 올해 8월 말까지 1년 사이에 10곳이 새로 문을 열고 8곳이 폐점했다.
패스트리테일링은 올해 9월부터 내년 8월 말까지 1년 사이에 한국에 7개의 유니클로 점포를 7개 새로 설치할 계획이다. 야나이 다다시 패스트리테일링 회장 겸 사장은 같은날 도쿄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에 관해 “줄곧 (냉각된 상태가) 계속되는 일은 없다.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싶다”며 한국에서의 사업 계획을 변경하지 않을 뜻을 밝혔다고 교도통신은 보도했다.
국내 유니클로 불매운동은 지난 7월11일 촉발됐다. ‘패스트리테일링’ 오카자키 다케시 재무책임자(CFO)는 같은날 결산 설명회에서 한국의 불매 운동에 대해 “불매운동이 장기간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며 “실적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해 국내 소비자들의 공분을 샀다.
반일감정은 일본 정부가 한국 수출규제 조치를 단행하면서 시작됐다. 일본 정부는 1일 한국으로의 수출관리 규정을 개정해 스마트폰 및 TV에 사용되는 반도체 등의 제조 과정에 필요한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강화했다.
규제 품목은 일본이 전세계 생산량에서 우위를 점하는 소재들이다.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반도체 기판 제작에 쓰이는 리지스트는 전 세계 생산량 중 90%가 일본에서 나온다. 반도체 세정에 사용되는 에칭가스(고순도불화수소) 또한 일본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70%를 점유 중이다.
일본의 수출 규제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10월 한국 대법원은 전범 기업인 신일철주금이 피해자에게 1억원을 배상해야 한다고 확정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와 기업은 한·일청구권 협약 등을 이유로 들며 이를 거부했다.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