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6일 (화)
방역당국 "영남대병원 17세 환자 검사 중 한 번 일부 오염으로 판단"

방역당국 "영남대병원 17세 환자 검사 중 한 번 일부 오염으로 판단"

기사승인 2020-03-21 15:17:53 업데이트 2020-03-21 15:19:00

방역당국이 폐렴 증세로 사망한 17세 고교생이 생전 대구 영남대병원에서 마지막으로 받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에서 '미결정' 반응이 나온 것과 관련, 해당 검사에 일부 오염이 있었다고 밝혔다.

당국은 영남대병원의 검사 신뢰도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병원에 검사 재개가 가능하다고 통보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17세 사망자의 마지막 검사에서 미결정 반응이 나온 이유는 한 번의 검사에서 실수 또는 잘못이 있었기 때문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이어 "영남대병원의 다른 검사에 문제가 없었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본 결과 다른 문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실험실 내 다른 오염 가능성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규명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왜 해당 검사에서 오염이 발생했느냐'는 질문에는 "검사 과정이나 실험 과정에서 오류나 잘못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다"며 "(이런 오염이) 체계적으로 발생하거나 구조화된 것이 아니다. 평상시 검사기관 모니터링을 수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검사 신뢰도가 수준 높게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원 방대본 진단검사관리총괄팀장은 "질병관리본부와 진단검사관리위원회가 현장실사와 환경평가를 통해 영남대병원 검사 장소·장비를 재점검한 결과 오염제거를 확인했고, 그 결과 검사 재개가 가능하다고 판단해 이를 영남대병원에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 팀장은 "말씀드린 내용에 대해서는 질병관리본부와 영남대병원의 견해가 모두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A군은 영남대병원에서 총 13번의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사망 전날까지 받은 12번의 검사에서는 줄곧 음성으로 나왔지만, 사망 당일 시행한 소변과 가래에 대한 유전자 검사에서 일부 양성 소견인 '미결정' 반응이 나왔다.

방역당국이 영남대병원으로부터 A군의 검체를 인계받아 다시 분석한 결과 검체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오히려 환자 검체가 전혀 들어가 있지 않은 대조군 검체에서도 유전자 증폭(RT-PCR) 반응이 확인했다. 당국은 이에 따라 영남대병원 실험실이 오염됐을 가능성을 지적하고 19일부터 영남대병원 검사를 잠정 중단시켰다.

kuh@kukinews.com

구현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대선에 ‘페이커’ 끌어들이기?…김문수, 사진 무단 도용 논란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2030 세대와 e스포츠 상징인 ‘페이커’ 이상혁의 사진을 무단 사용했다. 이상혁의 소속 구단인 T1은 즉각 대응에 나섰다.김 후보는 지난 5일 자신의 공식 X(구 트위터)에 이상혁의 시그니처 세리머니인 ‘쉿’ 포즈를 따라 한 프로필 사진을 게시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이상혁이 같은 포즈를 취한 사진도 함께 올라와 동일한 구도를 연출했다.‘쉿’ 세리머니는 한국조폐공사의 ‘페이커 기념메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