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 (토)
[병원소식]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병리과 김주영 교수 SCI 논문 게재

[병원소식]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병리과 김주영 교수 SCI 논문 게재

기사승인 2020-06-19 09:06:22 업데이트 2020-06-19 09:06:27

[쿠키뉴스] 한성주 기자 =노원을지대병원은 김주영 병리과 교수의 논문이 SCI급 학술지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연세암병원은 조병철 센터장과 연구팀이 참여한 임상연구에서 소세포폐암 치료에 면역항암제와 항암치료의 병용이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고 전했다.

▷노원을지대병원 김주영 병리과 교수 SCI 논문 게재=김주영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병리과 교수가 발표한 논문이 SCI급 학술지 Pathology 2020년 4월호에 게재됐다. 논문은 췌장의 세엽세포암종과 혼합 세엽세포-신경내분비 암종은 신경내분비 종양보다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는 내용으로, 김 교수가 제1 저자로 참여했다. 병원 측 설명에 따르면 췌장에서 나타나는 종양인 세엽세포암종과 혼합 세엽세포-신경내분비 암종은 임상병리학적 특징이 잘 기술되어 있지 않은 종양이다. 김 교수는 병리학적 감별을 위해 세엽세포암종과 혼합 세엽세포-신경내분비 암종을 신경내분비 종양과 각각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혼합 세엽세포-신경내분비 암종은 신경내분비 종양보다 공격적인 임상 병리학적 양상과 불량한 예후를 보였다.

▷연세암병원 연구팀, 소세포폐암 ‘키트루다·화학요법’ 효과 확인=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 센터장과 김혜련, 홍민희, 임선민, 안병철 종양내과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KEYNOTE-604 글로벌 3상 임상에서 확장병기 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서 ‘키트루다+화학요법’이 소세포폐암 환자의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개선했다. KEYNOTE-604는 MSD에서 진행한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이며 18개국 140개 기관에서 함께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미국 임상종양학저널 최신호에 게재됐다. 병원 측에 따르면 소세포폐암은 악성도가 높아, 발견 시 이미 림프관, 다른 장기, 반대편 폐, 종격동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많다. 미국 암 학회에 따르면 소세포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이다. 김혜련 교수는 “소세포폐암에서도 면역항암제와 항암치료의 병용요법이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castleowner@kukinews.com

한성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제카’ 김건우 “T1, 경기력 뛰어나…잘 대비해서 승리할 것”

‘제카’ 김건우가 T1의 경기력을 고평가하면서도 철저한 준비를 통해 승리하겠다고 다짐했다.한화생명e스포츠는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롤파크 LCK 아레나에서 열린 ‘2025 LCK’ 정규시즌 1라운드 DN 프릭스와 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스코어 2-1로 승리했다. 개막전 패배 후 연승에 성공한 한화생명은 2승1패를 기록했다. 경기 후 쿠키뉴스와 만난 김건우는 “첫 연승을 이룬 게 너무 좋다. 2세트 아쉬운 부분이 있었지만 피드백하면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