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현재 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1/2상 임상시험 결과, 대부분의 접종자에게서 적절한 수준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이 확인된 것으로 확인됐다. 심각한 부작용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서 1상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C사의 항체치료제는 족제비와 햄스터를 사용한 동물실험에서 바이러스 수치를 낮추고 염증을 감소시킨 효과가 확인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외에서 개발되고 있는 치료제·백신
의 임상시험 및 허가·심사 현황에 대한 정보를 22일 공개했다.
현재 국내에서 코로나19 관련해 진행 중인 치료제 및 백신의 임상시험은 총 13건(치료제 11건, 백신 2건)이다. 지난 7월 17일 국내개발 항체치료제 1건(CT-P59)이 추가로 승인됐다.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을 이용해 개발된 치료제로는 ‘혈장분획치료제’와 ‘항체치료제’가 있다.
국내외에서 개발 중에 있는 ‘혈장분획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 중 혈장을 대량으로 수집한 후 여러 공정을 거쳐 코로나19 중화항체를 농축한 제제이다.
현재 국내 G사가 혈장분획치료제를 개발 중에 있으며, 임상시험 계획 신청을 위해 식약처와 사전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식약처는 혈장분획치료제의 원료물질이 인체에서 유래하고 중화항체를 이용해 질병을 치료하는 동일 원리를 적용한 제품이 예전부터 개발돼 사용되고 있어, 코로나19의 상황을 고려해 신속한 개발을 위해 임상 1상 시험을 면제했다.
임상시험이 신청되면 식약처는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된다고 판단됐을 경우 임상시험 계획을 승인할 예정이다.
혈장분획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장을 원료로 하므로 생산비용이 높지 않으나, 헌혈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대량생산이 어려운 상황이다.
G사는 완치자의 혈장을 수집해 7월 중순부터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을 개시했다.
해외에서는 현재 프랑스 및 이탈리아 등에서 5건의 혈장분획치료제 임상시험이 진행 중에 있다.
항체치료제도 개발 중에 있다. ‘항체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액에서 가장 강력한 바이러스 중화능력을 보이는 항체를 선별하고, 그 항체 유전자를 삽입한 세포를 배양하여 항체를 대량 생산한 것이다.
항체치료제는 완치자의 혈액 수급과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양질의 의약품을 대량 생산 및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생산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투입된다.
국내에서는 C사의 항체치료제가 1상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
C사의 항체치료제는 세포를 이용한 실험 결과,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족제비와 햄스터를 사용한 동물실험에서는 바이러스 수치를 낮추고 염증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람과 유사한 임상적 증상을 나타내는 족제비에서 콧물, 기침 등이 개선됐으며, 원숭이를 이용한 독성시험에서 안전성이 확인됐다.
해외에서는 미국 L사와 R사가 개발한 항체치료제가 건강한 사람 또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은 국내외에서 다수 개발되고 있는데, 그 중 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 중인 백신은 현재 임상 2상 및 3상을 진행 중에 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하고 있는 백신은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한 백신으로, 세포배양 기술로 생산되며 우리나라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에서 위탁 제조할 예정이다.
아스트라제네카가 18세~55세까지의 건강한 성인 1077명을 대상으로 한 1/2상 결과, 대부분의 접종자에게서 적절한 수준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이 확인됐다.
백신을 투여받은 사람에게서 통증, 열감, 오한, 근육통 등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일반적인 이상반응이 발생했지만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또한,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중화항체가 대부분의 접종자에게서 생성된 점 등 현재까지 결과들이 긍정적이긴 하지만 아직은 초기 임상단계라서 2상 및 3상 임상 결과를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식약처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의 임상시험 등 개발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도입을 위해 필요한 품목허가, 특례수입 등에 대한 사항을 지원하고 우리 국민의 치료 기회를 보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