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컨대 지난 5월 미국에서 낸시 펠로시 하원 의장이 술에 취해 횡설수설하는 것으로 보이는 동영상이 페이스북에 올라왔지만, 결국 의도적 편집을 통해 조작된 영상으로 드러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영상을 트윗하며 일파만파로 퍼졌는데도 페이스북은 이를 삭제하지 않아 문제가 됐다. 나중에야 최고경영자 마크 주커버그가 나서 사과를 했지만 펠로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완전히 조작된 뉴스들이 여론을 호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가 아닐까?
현대사회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현실 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때문에 포털 사이트는 물론 각종 SNS들도 '팩트 체크'에 신경써야 하는 상황이 됐다. 이들은 콘텐츠를 올리고 내리는 권한이 있다 보니 나쁜 영향을 주는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리뷰팀을 두고 있다. 특히 음란물이나 테러리즘, 혐오 발언, 아동학대, 폭력, 사이버불링 등 옳고 그름이 확실한 데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계정삭제나 콘텐츠 삭제가 이뤄진다.
문제는 옳고 그름이 분명하지 않은 정보들이나, 교묘하게 한 쪽에 편향된 뉴스들이다. 이런 정보들은 알음알음 공유돼 더 큰 소문을 만들고, 갈등을 부추긴다.
하지만 포털이나 SNS들은 플랫폼의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 가짜뉴스에 다소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원에 대한 페이스북의 대응처럼 말이다. 얼마 전 유튜브에서도 광복절 집회 이후 '보건소에서는 코로나19 양성이었는데 병원에서 검사는 음성이었다'는 가짜뉴스가 퍼져나가기도 했지만, 공식 대응은 없었다.
SNS 플랫폼 업체들도 할 말은 있다. 완전히 거짓으로 판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뉴스의 형태를 띠지 않는 정보도 많아 일정한 잣대를 세우기 어렵다는 것이다. 또 누구나 의견을 내놓을 수 있는 공론장이라는 특성상 다양한 의견들이 오갈 수 있다고 항변한다. 표현의 자유 보장이라는 명분을 내세운다. 그 와중에 풍자나 패러디 등 다양한 의견들이 표출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의견에 대해서만 과도하게 제재하는 방식은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과도한 가짜뉴스는 현실에 대한 왜곡을 가져와서 진짜 현실인 양 군림하기도 한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괴담' 수준의 가짜정보가 유통되기도 했다.
최근에 방송통신위원회가 불안을 조장하는 코로나19 가짜뉴스에 대한 강력한 처벌을 거론하며 가짜 뉴스와의 전쟁에 나섰다. 이미 2018 5월 네이버와 카카오 등이 구성한 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운영하는 가짜뉴스 신고센터가 있고, 이들은 이곳에서 신고된 가짜뉴스를 삭제하며 자율규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유튜브나 페이스북은 가입하지 않아 '반쪽짜리'라는 비판이 여전하다.
결국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가짜 뉴스를 잡는 것이 관건이다. 일견 모순처럼 들리지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면 가능할 수 있다. 그 출발은 모두가 참여하는 자율규제 센터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다.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유튜브, 트위터 등의 글로벌 소셜미디어도 잘못된 정보가 무분별하게 퍼져나가지 않도록 각별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글로벌 SNS 기업의 경우 미국이나 유럽에서 가짜뉴스 대응에 더 적극적으로 보인다. 트위터의 경우 가짜뉴스를 트윗한 미국 대통령의 글에 경고문을 달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이 같은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건 어떨까. 현대사회에서 SNS는 단순히 의견의 장 뿐만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도록 설계된 거대하고 촘촘한 정보의 더미와도 같다. 이곳을 함께 가꾸어 나가야 할 의무가 글로벌 SNS에도 있다.
ku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