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18일 (일)
박광온 의원 “최근 6년간 대기업집단 담합으로 11.7조원 매출 올려”

박광온 의원 “최근 6년간 대기업집단 담합으로 11.7조원 매출 올려”

기사승인 2020-10-05 10:39:25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
[쿠키뉴스] 임중권 기자 =최근 6년간 대기업집단이 담합으로 11.7조원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제재보다 금전적 이익이 막대한 상황에서 대기업들이 담합을 반복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상호출자제한기업의 담합 매출액’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20년 8월까지 최근 6년간 21개 대기업집단은 162회 담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대기업이 담합으로 얻은 매출(계약금액 기준)은 11.7조원에 달했다. 이에 반해 과징금부과 금액은 6548억원에 그쳤다. 매출액 대비 5.6%에 불과한 금액이다.

담합 건수로 살펴보면, 적발된 21개 대기업 가운데 엘에스가 31회로 가장 많았다. 대림 16회, 한진 13회, 현대·에스케이·씨제이 10회 순으로 나타났다.

담합 관련 매출액 규모는 현대자동차가 2.4조원으로 담합을 통해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기업으로 분석됐다. 대림 1.5조원, 대우건설 1.3조원, 두산 1.2조원, 삼성·지에스 1.0조원 순이다.

과징금 부과액은 현대자동차가 가장 많았다. 1777억원(담합매출 2.4조원)으로 전체 과징금 부과액(6548억원)의 27.1%를 차지했다. 대우건설 844억원(담합매출 1.3조원), 삼성 740억원(담합매출 1.0조원), 대림 564억원(담합매출 1.5조원), 두산 410억원(담합매출 1.2조원), 지에스 406억(담합매출 1.0조원)원 순으로 조사됐다.

박광온 의원은 “시장경제의 근간은 공정경제”라고 지적하며 “과징금 강화는 물론 집단소송제 도입, 징벌적 배상 배수 확대, 전속고발권 폐지 등 담합이 적발될 경우 기업이 무너질 수 있다는 확고한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im9181@kukinews.com
▲표=박광온 의원실 제공.
임중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검찰, ‘홈플러스 사태’ 김병주 MBK회장 귀국길 휴대폰 압수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을 예상하고도 대규모 단기 채권을 발행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압수수색해 휴대전화 등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1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부장 이승학)은 전날 오후 영국 런던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귀국한 김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김 회장의 휴대전화 등 수사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28일 특정경제범죄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