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백신 제품에 대한 책임은 허가과정을 통해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해야 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게 있다.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당연한 전제이나,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촉진자 역할도 해야 한다. 상충되는 가치인 신속성과 안전성을 조화시키는 것이 우리의 숙제이다.”
김강립 신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16일 서울 중구 소재 한식당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3가지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확보’를 꼽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처장은 “규제를 심사하는 곳이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무언가를 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최선을 다하는 것을 지상과제라고 생각하고 있다”면서 “‘과거에 누렸던 삶을 얼마나 회복시켜줄 것인가’라는 최종 목표에 신뢰성을 기반으로 얼마나 더 빨리 가느냐가 숙제”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을 국내에 도입할 땐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김 처장은 밝혔다. 그는 “현재 (백신 개발과 도입 과정이) 굉장히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안전성을 검증하는 규제당국에서 부담이 큰 상황이다. 임상시험만 하더라도 보통 8~9년 걸리는 것을 1~2년 안으로 하게끔 진행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제품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촉진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분명하다. 때문에 전문가들로 최고의 팀을 구성해서 가장 최단시간 내에 안전성 검증을 마치게 하는 것이 기본적인 목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안전성을 양보하는 건 있을 수 없다. 안전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검증해야 한다는 숙제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대신 (백신이) 없어서 못 맞는 상황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 확보를 먼저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김 처장은 백신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와 논의 중이라고도 했다.
그는 “최근 발생한 독감백신 관련 사태의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현재 백신 접종에 관한 책임은 질병청이 지고 있고, 제품 그 자체에 대해서는 식약처가 지고 있다. 또 접종 계획이나 보상과 관련한 정책은 질병청과 보건복지부가 같이 책임지고 있고, 유통에 대해서는 지자체를 통한 보건소가 지도‧감독하고 있다”며 “관련한 전체 조율 체계는 질병청을 중심으로 한 범부처 TF에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개발 중인 코로나 백신 중에는 영하 70도, 75도 등의 초저온 냉동 제품이 있어서 수급에 관한 정확한 예측에 기반해서 공급과 소비가 이뤄져야 한다. TF에서는 이와 관련한 논의도 하고 있으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방식을 찾았을 때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처장은 국정과제 완수와 한국형 뉴딜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포부도 전했다. 그는 “뉴노멀 시대에 맞춰서 식약처 행정에 있어서도 새 변화를 받아들여야 한다. 전문성과 신뢰성, 효율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생활안전을 확보하겠다는 국정과제를 잘 마무리할 것”이라며 “한국형 뉴딜이라는 시대적 요구, 국가적 변화 향상에서도 이를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국제적 질서를 선도할 수 있는 부분은 없을지 고민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즘은 이낙연 전 총리가 ‘공무원의 여러 의무 중에는 설명의 의무가 있다’고 말한 부분을 새겨듣고 있다. 국민들이 납득하고 따를 수 없다면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다”면서 “식약처의 담당업무는 건강과 직결되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가끔 식약처와 질병청이 자신들의 언어로 얘기해 국민들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는데, 좀 더 쉽게 납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학적 증거를 기반으로 나온 결과를 국민이 정책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처장의 일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과학적 전문가는 아니지만 보건행정 분야를 오래 맡으면서 쌓은 자산을 다른 형태로 국민에게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
suin9271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