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5일 (월)
코로나가 바꾼 면접···구직자 '10명 중 5명' 비대면 선호

코로나가 바꾼 면접···구직자 '10명 중 5명' 비대면 선호

4차 산업 혁명 시대 'AI 면접'도 확대···대기업 가장 많아

기사승인 2021-03-16 21:04:22
(이미지 제공=잡코리아)
윤은식 기자
eunsik80@kukinews.com
[쿠키뉴스] 윤은식 기자 =현재 취업활동 중인 구직자 10명 중 5명은 비대면 면접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또 4차산업혁명 시대에 접어 들면서 구직자 4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 면접'을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는 16일 현재 취업활동 중인 구직자 1427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선호하는 면접 유형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절반이 넘는 55.2%가 비대면 면접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비대면 면접을 선호하는 이유로는(복수응답) 코로나 시국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면접을 볼 수 있어 안전하기 때문이 응답률 62.6%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다음으로 실제 면접장에서 보다 긴장감이 덜해 실수를 줄일 수 있어서(35.5%), 면접복장 구입 및 교통비 등 면접을 위한 비용 절감(29.1%), 다른 면접자들과 비교되지 않아 좌절감 없이 면접에 임할 수 있음(15.4%), 면접장 이동시간 및 대기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도 됨(11.0%) 등의 응답이 있었다.

코로나19 시국이 끝난 시점에는 비대면보다 대면 면접을 더 선호한다는 응답이 55.6%로 다소 높았다. 구직자들에게는 아직 비대면 면접 보다는 대면 면접이 익숙한 것으로 잡코리아는 풀이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AI면접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 면서 구직자 25%는 AI 면접을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집계한 결과 구직자 24.3%가 AI면접 경험이 있었으며, 입사지원 했던 기업별로는 대기업 지원자의 경우 32.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외국계기업(29.7%), 공기업(27.8%), 중소기업(18.7%) 순이었다.

구직자가 AI면접 시 가장 어려웠던 부문으로는 성향파악 및 상황대처 질문이 41.8%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게임을 통해 지원자의 행동패턴을 수집하고 직무적합성을 평가하는 역량분석 게임(18.4%), AI면접의 첫 번째 단계인 자기소개(13.0%), 주어진 상황에서 자신이 더 선호하는 것을 선택하는 보상 선호(11.5%), 100여 개가 넘는 질문을 5~6점 척도로 풀어야 하는 기본 질문(11.5%) 등순으로 조사됐다.

변지성 잡코리아 팀장은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AI면접 등 '비대면 전형 도입'을 대응책으로 검토하는 기업들이 늘면서 구직자들도 이에 따른 준비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eunsik80@kukinews.com
윤은식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DDP에 펼쳐진 봄날의 동화…가족·어린이 몰려든 ‘환상의 성’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도심 속 테마파크’로 변신했다. 입구에 배치된 동화 속 장면을 모티브로 한 대형 구조물과 8m 규모 해치 애드벌룬은 ‘환상의 성’을 방불케 한다.지난 2일 방문한 DDP 행사장 곳곳은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부모들의 카메라 셔터 소리로 가득했다. 서울디자인재단이 가정의 달을 맞아 마련한 ‘DDP 봄축제’가 1일 본격적인 막을 올리면서, 유모차를 끄는 가족 단위 관람객들이 길게 줄을 섰다.어울림광장에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