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일 (목)
공매도 시행 D+15, 호들갑이었나… 지수에 영향 적었다 

공매도 시행 D+15, 호들갑이었나… 지수에 영향 적었다 

기사승인 2021-05-18 06:00:10
사진=박태현 기자
심신진 기자
ssj9181@kukinews.com

[쿠키뉴스] 심신진 기자 =공매도가 재개된지 2주가 지났다. 주가 폭락 우려와 달리 증시 거래대금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2.83%에 불과했다. 기간 중에 지수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코로나19 확산 영향이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재개일인 지난 3일부터 전날까지의 일평균 공매도 거래대금은 7669억원이다. 일평균 거래대금인 27조283억원의 2.83% 수준이다. 지난 2019년 연간 공매도 비중이 4.5%, 지난해 공매도 금지 직전 거래일(3월13일)에는 5.5%를 기록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적은 수치다. 

공매도는 지난 3일 코스피200·코스닥150 지수에 한해서 부분재개 됐다. 전날 코스피200, 코스닥150 두 지수는 각각 418.27, 1374.15에 거래를 마쳤다. 공매도 재개일인 지난 3일과 비교했을 때 코스피200은 0.49%(2.09p) 하락, 코스닥150은 0.92%(12.54p) 상승했다. 공매도로 인한 주가폭락은 보이지 않았다.

두 지수는 지난 10일에 각각 공매도 재개 이후 최고치인 435.63, 1415.18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후 3거래일동안 연속 하락세를 보였지만 14일에 반등했다. 

이 같은 지수 출렁임과 관련해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연구원은 “공매도 영향은 크게 없다. 아시아 쪽 코로나19 이슈에 영향을 받았다”며 “물론 일부 종목에 영향을 줬겠지만 시장 전반에 영향을 줄 정도의 큰 움직임은 아니었다”고 분석했다.

전체 지수로 봤을 때는 큰 영향은 없었다. 다만 제약·바이오 업종은 달랐다. 주가 고평가 논란이 불거지면서 공매도의 주요 타깃이 됐기 때문이다. KRX헬스케어 지수는 4432.38로 전날 거래를 마쳤다. 공매도 재개일인 3일 종가 4228.09 대비 4.83% 하락했다. 

지난 2주 동안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 5위에 가장 많이 오른 종목은 HMM, 카카오게임즈, 셀트리온헬스케어, LG디스플레이, 씨젠 등이다. 수익률은 제각각이었다. HMM의 경우 지난 3일 3만9200원에서 전날 4만2850원으로 9.31% 상승했다. 같은 기간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0만5500원에서 8.34% 올라 11만4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카카오게임즈는 3일 5만1700원에서 전날 1.93% 하락한 5만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 기간 LG디스플레이는 2만4100원에서 7.88% 떨어진 2만2200원, 씨젠은 8만6100원에서 7.78% 내린 7만9400원에 장을 마쳤다. 

공매도 거래대금 상위에 오른 종목이지만 수익률이 제각기 다른 이유는 펀더멘털 개선 기대 때문이다. DB금융투자 설태현 연구원은 “공매도의 순기능이 적정가격 발견임을 고려할 때 이익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은 공매도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며 “펀더멘털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의 주가가 수급 영향으로 지속해서 하락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ssj9181@kukinews.com
심신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탄핵 선고 D-1…찬반집회 세력 막판 ‘총력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3일, 헌법재판소 일대 곳곳은 막판 총력전에 돌입했다.탄핵 반대 세력은 선고를 목전에 두고 철야 농성과 집회를 확대하고 있다. 이날 오후 2시께 서울 종로구 천도교 수운회관 앞은 자유통일당 등 윤 대통령 지지자들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오후 3시 기준 이곳에는 경찰 비공식 추산 1000여명이 모였다.탄핵 반대 집회에선 전날 ‘철야 집회’를 치른 노인들이 모여 성조기와 태극기를 노래에 맞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