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당‧정‧청 “세종 공무원 특별공급 폐지”

당‧정‧청 “세종 공무원 특별공급 폐지”

“위법 사례 발견되면 환수까지 검토”

기사승인 2021-05-28 10:31:12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기창 기자
mobydic@kukinews.com

[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최근 문제로 떠오른 세종시 공무원 특별공급 제도가 사라진다.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28일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통해 “세종시 특별공급 제도가 과도한 특혜”라며 “전면 폐지라는 특단의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고 수석대변인은 “이전기관 특별공급 제도가 세종시 정주여건 개선 등 당초 취지를 상당 부분 달성했다. 관련 제도를 신속하게 개편하겠다”고 했다. 

최근 문제가 된 관세평가분류원(관평원) 사태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관세청 산하 관세평가분류원은 지난 2015년 세금 171억원을 들여 세종시 신청사를 지었다.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시 관평원은 이전 대상이 아니었지만 직원 82명 중 약 50여 명이 세종시 특별공급 아파트를 분양받은 뒤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가운데 아파트에 실제 입주한 사람은 단 8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고 수석대변인은 “이번 사태를 촉발한 관평원 사태에 대해서도 조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위법사례가 발견되면 수사를 의뢰하는 등 엄정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환수 가능한 것은 당연히 환수할 것이다. 법적인 검토 필요한 건 법률 검토 통해 대응할 것”이라며 “관평원 외에도 특별공급 관련한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mobydic@kukinews.com
최기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서울 사람한테만 빌려줬다” 저축은행 여신 집중 ‘심각’

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이 서울에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과 전문가들은 지역금융 공급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문한다. 이를 위해 규제 완화와 인수합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온다.2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3월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은 40조4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동월 대비 약 2조원 증가했다. 서울에서만 2조50억원 늘었다. 다음으로 대출이 많이 증가한 부산(2521억원), 충북(2107억원)은 증가 폭이 서울의 1/10 수준에 그쳤다. 경기(-280억원)와 인천(-19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