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의 총인구는 991만1088명으로 1988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 미만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총인구는 9만9895명이 감소했다. 내국인 세대수는 441만7954세대로 전년대비 9만349세대가 늘어 증가 추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세대당 인구수는 평균 2.19명으로 전년대비 0.06명 감소했다. 반면 전체 세대에서 1∼2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63.8%로 전년(61.8%)대비 2.0%p 증가했다.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구는 관악구(58.3%), 종로구(51.1%), 중구(50.7%)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1인 가구 증가 배경으로는 저출산과 주거비용 상승에 따른 가족단위 전출, 교육·취업 목적의 20대 1인 가구 전입 등이 꼽힌다. 업계에서는 주거형태를 기존 4인 가족형태로 보는 것을 떠나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업계 관계자는 “세대당 인구수 감소는 1인 가구의 증가를 의미하기도 한다”며 “주거형태를 기존 4인 가구 중심에서 1인 가구에 적합한 소형주택으로 다양화하는 등 정책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에 서울시는 지난해 5000명에게 처음 지원한 ‘청년월세’ 지원규모를 올해 5배 이상 확대할 방침이다. 지원 규모는 10개월 간 월 20만원 수준이다. 이와 관련 서울시는 지난 2일 추가경정예산 179억원을 추가 확보했다. 서울시는 오는 27일 모집 공고를 내고 8월10~19일까지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반기 청년월세 5000명 선정에 7배나 많은 3만6000여 명의 청년들이 신청할 정도로 수요가 높았다”며 “이번에 대상자를 대폭 늘려 정책수요의 적체를 해소하고 청년들의 주거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거지원 뿐만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거친 지원도 확대된다. 서울시는 지난 4월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1인 가구 특별대책추진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있다. 1인 가구 지원은 오 시장의 ‘1호 공약’이기도 하다. TF는 조직개편을 통해 오는 19일 시장 직속 정규 조직인 ‘1인 가구 특별대책추진단’으로 거듭났다. 추진단은 올 하반기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지원정책을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의회 심의를 거쳐 추가경정예산 27억원을 확보했다.
이번 추경엔 여성 1인가구 밀집지역 20곳에 ‘안심마을 보안관’ 80명 배치, 움직임 감지 카메라 설치 지원 ‘도어지킴이’, 병원동행 서비스 등 시범사업 예산이 20억원 포함됐다. 맞춤형 집수리, 청소·정리정돈을 지원하는 주택관리서비스 예산 6억원도 편성했다. 또 50~60대 중장년 1인가구용 독립 주거공간과 공유공간을 갖춘 ‘클러스터형 주택’ 유형 개발을 위한 연구용역 예산 1억원이 반영됐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1인가구 니즈가 시장에 반영 될 때 그 사회의 경쟁력이 올라간다며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조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월급을 모아서 집이 아닌 오토바이를 사고, 반려동물에게 한 달에 100만원씩 쓰면서 결혼에는 관심이 없는 청년들이 늘고 있다. 사회는 변화하고 있다”며 “주거나 라이프 등 이들에게 맞는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사람들의 니즈가 재화나 서비스에 반영될 때 그 사회의 경쟁력은 더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asj052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