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지플러스 사태' 일파만파... 또다시 불거진 금감원 늦장 대응

'머지플러스 사태' 일파만파... 또다시 불거진 금감원 늦장 대응

기사승인 2021-08-17 16:45:26
지난 13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결제플랫폼 회사 ‘머지포인트’ 본사에 환불을 요구하는 가입자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연합뉴스

[쿠키뉴스] 유수환 기자 = 머지플러스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 ‘머지포인트’가 서비스 중단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책임론이 불거졌다. 이 기업은 대형마트, 카페, 편의점 등 수많은 가맹점을 제휴사로 보유하고 있고 가입자만 100만명이 넘었지만 전자금융업에 등록하지 않았던 것이 드러나서다. 이는 사업자 관리를 담당하는 금융감독원의 관리감독 소홀로 인해 불거진 문제라는 지적이 나왔다. 게다가 아직 확정적이지 않지만 ‘신규 고객을 통한 자금 돌려막기’라는 의혹(폰지사기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내정된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은 전날 열린 대책회의를 통해 선불충전업에 해당하는 영업 사례들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금융감독원은 또 전금법에 따른 등록을 하지 않은 사례가 있는지 조사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다수의 업종에 사용될 수 있는 전자지급수단(포인트, 상품권 등) 발행 업체 중 규모가 큰 업체를 우선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의 조치에 대해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고 지적한다. 실제 금융감독원은 머지플러스가 수년 간 전자금융업 자격을 취득하지 않고 사업을 해 왔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애초 머지플러스 사태가 이토록 커진 것은 수년 간 금융감독원이 머지플러스의 무허가 영업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머지플러스 측은 갑자기 이 달 초에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시정 권고를 받았고, 결국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머지플러스가 직접 선불전자지급 수단을 발행한 것이 아니었고, 감사보고서를 제출한 적도 없기에 금융감독원이 인지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마 사업 초기에는 법리적으로 전금법에 해당되지 않았을 수 도 있다”며 “다만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결국 규제에 문턱을 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동안 금융감독원에서 수년 간 영업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가 이제와서 가맹점을 축소하라고 했다”며 “수많은 제휴사를 포기하는 것은 모래탑이 무너지는 것과 유사하다”고 비판했다.

머지플러스의 사업 구조도 여전히 논란거리다. 머지포인트는 포인트 충전 시 이용자에게 약 20%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모바일 결제 플랫폼 서비스다. 이달 기준 파리바게뜨를 비롯해 이디야, 빕스 등 200개 제휴 브랜드 전국 7만여개 상점에서 결제를 활용할 수 있고, 구독료 만큼 할인을 받지 못하면 차액을 머지머니로 환급해 주는 서비스도 제공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 외에 다른 사업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지 못했다. 토스의 경우 간편송금이라는 ‘틈새시장’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확장해 나갔다. 기존 은행 애플리케이션(앱)의 복잡한 금융서비스가 토스에게는 기회가 된 것이다. 현재 토스의 전체 가입자 수는 2000만명으로 카카오뱅크를 능가한다. 특히 MZ세대로 불리는 10~20대 사용 비중이 높은 만큼 성장성도 높다. 

금융권 관계자는 “머지틀러스는 언뜻 보기엔 토스의 사업모델과 비슷하나 수익구조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며 “선결제 할인서비스로 인해 적자 규모가 커지면 다른 사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했다. 하지만 자본금(약 30억원)이 적은 머지플러스가 이 같은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폰지사기 의혹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비롯됐다. 일각에서는 신규 고객 예치금으로 기존의 적자를 메우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 때문에 이는 다단계 기업들의 방식과 유사하다. 때문에 수많은 소비자들이 환불 요청을 한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소비자의 항의 방문에 사측과 대표가 제대로 된 해명도 없이 직접적인 마찰을 피해가려고 했다”며 “그런 행위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불신만 더욱 증폭 시킨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