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 거칠고 때로 반항적인 음악 안에서도 그는 자신의 신을 잊지 않았다. ‘내가 가는 길로써 내가 믿는 하나님을 대표하겠다’며 두 번째 자아에 ‘JGP$’라는 이름을 붙였다. J는 ‘지저스’(Jesus), ‘GP$’는 ‘위치 결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GPS)를 뜻한다. “기독교와 예술을 결합해 새로운 무브먼트(움직임)를 만들고 싶어요.” 최근 서울 합정동 푸이(phooey) 사무실에서 만난 래퍼 JGP$가 들려준 얘기다.
JGP$는 27일 EP ‘아티피셜 오브젝트’(Artificial Object)를 낸다. 2018년 싱글 ‘더스트’(Dust)로 데뷔한 뒤 처음 내는 단독 EP다. JGP$는 이 음반에서 문명사회의 이면을 고찰한다. 열심히 살려고 했으나 오히려 죽어가는 사람의 이야기를 담은 첫 곡 ‘퍼버스 이펙트’(Perverse Effect)부터 우리 사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파헤치는 마지막 곡 ‘블라인드 스팟’(Blind Spot)까지, JGP$가 느끼고 경험한 현대사회가 7곡에 함축됐다.
지난 13일 선공개한 노래 ‘디짓’(Digits)은 디지털 시대를 주제로 한다. 독일 작가 바실리 프랑코가 제작한 이 곡 커버 이미지는 온몸이 구겨진 채 휴대전화에 갇힌 인간을 보여준다. 분절된 세상에서 사라진 인간성을 회복하겠다는 다짐일까. JGP$는 ‘디짓’에서 “필요한건 용기와 기백”이라며 “너의 전부를 걸어, 인생 전부”라고 외친다. 그는 “의미 있게 살아가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점점 더 크게 느낀다”며 “눈에 보이는 것보단 주관과 사상, 영적인 면이 더욱 귀중하다”고 말했다.

돈이 음악을 앞서는 시장 논리에 회의감이 들 때도 있었지만, 그만큼 뿌듯한 순간도 많았다. 주변 뮤지션들과 음악으로 마음이 통할 때가 그렇다. 밴드 시나위 멤버 김바다는 JGP$가 지난해 유튜브에 올린 ‘GPS’ 뮤직비디오를 보고 그에게 협업을 제안했다고 한다. 신보에 피처링한 래퍼 짱유·쿤디판다와는 뮤지션으로서 느끼는 고민을 공유하며 가까워졌다. JGP$는 “이 음반을 위해 정말 많은 분들이 도움을 주셨다”며 “돈을 받아도 하기 싫은 일이 있을 텐데, 내 음반 작업은 (참여한 뮤지션·작가들에게) 그런 일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내게 위로와 용기를 줬다”고 말했다.
“음악을 만드는 데서 그치지 않고 더 큰 일을 벌이고 싶어요. 가수 나얼과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 챈스 더 래퍼가 그랬듯 예술을 매개로 새로운 무브먼트를 만들어 내고 싶은 마음이 크죠. 우린 위로가 필요한 시대에 살고 있잖아요. 제가 만든 무언가가 사람들에게 용기와 위로를 줄 수 있길 바랍니다. 멋진 집, 좋은 옷, 맛있는 음식에서 힘을 얻을 수도 있겠지만, 진정한 힘은 영혼으로부터 나온다고 믿거든요.”
wild37@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