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이퍼링 등 유동성 회수의 시기…자산시장 흔들 나비효과 될까

테이퍼링 등 유동성 회수의 시기…자산시장 흔들 나비효과 될까

기사승인 2021-11-05 06:24:02
사진=이희정 디자이너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본격적인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을 착수한 것과 관련해 글로벌 경기 둔화의 ‘나비효과’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연준의 테이퍼링은 시장에서 이미 선반영된 것이긴 하나 향후 금리인상, 인플레이션 문제, 중국발 전력난과 공급대란 등 여전히 다양한 불확실성이 남아있어서다.

특히 한국경제는 수출 의존도가 높고 레버리지(가계부채 및 빚내 투자) 비중이 크기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한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AP 연합뉴스


5일 금융권과 정부는 미국 현준의 테이퍼링 시행에 대해 현재 시장에서 미칠 영향력은 단기적으로는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 이억원 1차관은 지난 4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국제금융시장에서 큰 무리 없이 소화되며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테이퍼링이란 중앙은행이 새로운 자산(채권)의 매입 속도를 늦추는 과정이며, 양적완화 정책을 되돌리는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즉 지난해 3월 코로나19 사태 후 시작한 양적완화 조치를 서서히 줄여나가겠다는 것이다.

현재 연준은 연방기금 목표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한 가운데 테이퍼링(자산매입 규모 축소)를 11월부터 개시했다. 연준은 월간 1200억 달러 규모의 채권매입을 150억 달러씩 줄여서 내년 상반기에는 매듭짓겠다는 결론을 냈다.

테이퍼링 이슈는 이미 올해 초부터 꾸준히 나왔던 것이다. 때문에 현재 단기적으로 시장의 변동성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아직까지 불안요소는 남아있다는 평가다. 테이퍼링은 지난 2013년에도 반복됐던 이슈다. 실제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테이퍼링 이슈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주었다. 2013년 연방준비제도가 예상보다 빨리 양적완화를 거둬들이면서 신흥국의 부채 부담이 커졌고, 주가와 환율, 채권 가격도 동반 하락하기도 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가능성을 주목한다.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에 대해 아직까지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으나 시장의 반응은 온도 차가 있다. 

신한금융투자 하건형 연구원은 “테이퍼링 시행으로 시장 관심은 금리 인상으로 이동했다”며 “현재 금융시장은 2022년말까지 2차례 금리 인상을 내다본다”고 전망했다. 

현대차증권 오창섭 연구원은 “현재 연준위원들의 향후 연방금리 전망은 전체 18명 위원 가운데 9명이 내년에 금리인상 시작을 예상하고 있다”며 “또한 경제여건을 감안할 때 내녕 하반기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또 다른 불확실성은 인플레이션과 공급 대란 문제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그동안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일시적이라고 언급했으나 최근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인정했다. 

현재 우리 정부도 인플레이션 문제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이억원  1차관은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장기화할 경우 미국 연준 등 각국의 통화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며 금융시장의 불안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중국발 전력난으로 인한 공급 대란 문제는 인플레이션을 촉발시킬 수 있는 뇌관이 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미디어콘텐츠 본부장은 “현재 중국발 전력난으로 인한 공급망 문제는 에너지, 반도체, 물류 등 여러 부문에서 시장을 위축시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한국은 수출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문제는 이러한 불확실한 요인이 커진 상황에서 유동성 공급이 줄어드는 것은 주식시장과 자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레버리지 비중이 큰 국내 자산시장은 그 여파가 클 수 있다고 한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9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국민들 처분가능소득이 전년 대비 3.9% 늘어날 때 가계부채(총 1806조원)는 10.3%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치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72.4%에 달한다. 즉 소득 증가 속도 보다 부채 증가 속도가 빨랐다는 것이다. 

서상영 본부장은 “빚투(레버리지 투자)에 대한 리스크는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연준과 각국 중앙은행들이 꾸준히 경고하고 있다”며 “이미 중국의 인민은행은 선제적으로 유동성을 흡수하면서 레버리지를 차단시킨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기 회복을 위해서는 공급대란 리스크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서상영 본부장은 “(공급대란으로 인해) 글로벌 경기가 둔화되는 상황에서 연준이 테이퍼링을 하게 되면 국내 시장도 돈이 빠져나가게 된다”며 “결국 공급망 문제가 조속히 해결돼야 이러한 불확실성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shwan9@kukinews.com
유수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