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5월 23일 (금)
금리 인상에 매도 늘었다···이자 부담 불가피

금리 인상에 매도 늘었다···이자 부담 불가피

기사승인 2022-07-18 10:04:29 업데이트 2022-07-18 10:58:04
서울 마포구 일대 아파트.   사진=김형준 기자
김형준 기자
khj0116@kukinews.com

아파트 등 주택을 매수하고 1년 이내에 되파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늘어나는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결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보유기간 1년 이내 주택을 판 매도인 비율이 9.9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비율은 지난해 3분기(7.16%), 4분기(7.48%), 올해 1분기(8.49%)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년 초과 2년 이내·2년 초과 3년 이내 매도인 비율도 지난해 3분기 각각 4.8%, 8.15%에서 올해 2분기 7.08%, 9.13%로 늘었다. 특히 서울지역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빌라) 3년 이하 단기 보유 매도인 비율이 지난해 3분기 17.29%에서 올해 2분기 24.16%로 증가했다.

직방은 이번 매도 비율 증가 원인으로 급등한 금리로 인한 대출 부담을 꼽았다. 저금리 시기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 주택을 구매한 여파로 분석한 것이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액 변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2분기 18조790억원이던 주택담보대출액은 △3분기 25조7170억원 △4분기 36조2910억원 △2021년 1분기 33조2770억원 △2분기 12조7650억원 △3분기 38조5870억원 △4분기 25조450억원으로 영끌 열풍을 타고 급증했다.

아울러 가계대출 금리 구간별 대출 비중 역시 높은 금리 구간의 대출액 비중도 늘었다. 2021년 1분기에는 3% 이하 금리 비중이 78.6%에 달했지만, 현재는 3% 이상 금리 비중이 83.3%를 차지한다.

특히 늘어난 금리와 주택담보대출액은 월 대출 상환액 급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직방은 매매가격이 연말까지 유지되고 금리가 7%까지 오를 경우 올해 4월보다 월 대출 상환액이 67만원, 약 34% 상승을 예상했다. 또 수요가 많은 84㎡ 중형 아파트는 월 대출 상환액이 82만원, 약 39%라는 높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향후 금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현재의 소득수준 대비 아파트 금융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물가상승 및 경기둔화에 부동산 매물마저 적체되면서 적기 매도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최근 한국은행의 ‘빅 스텝(기준금리 0.5%p 인상)’과 추가 금리 인상 시사 여파로 비용 부담과 심리적 부담에 처분을 선택하는 매도자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형준 기자 khj0116@kukinews.com

김형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진로·진학의 길잡이”…활기 넘친 ‘금천진로진학박람회’

“처음에는 그냥 재미로 왔는데, 직접 체험해보니까 ‘이 일을 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23일 오전, 서울 금천구청 광장 일대는 평소보다 한층 분주한 모습이었다. 교복을 입은 중학생들 사이로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도 손에 행사 안내지를 들고 바쁘게 움직였다. 진로에 대한 기대와 호기심으로 가득 찬 청소년들의 활기로 광장은 인산인해를 이뤘다. 이들의 열띤 참여 속에 ‘2025 금천진로진학박람회’가 성황리에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