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등 주택을 매수하고 1년 이내에 되파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금리 인상 여파로 늘어나는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결과인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보유기간 1년 이내 주택을 판 매도인 비율이 9.92%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비율은 지난해 3분기(7.16%), 4분기(7.48%), 올해 1분기(8.49%)를 기록하며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년 초과 2년 이내·2년 초과 3년 이내 매도인 비율도 지난해 3분기 각각 4.8%, 8.15%에서 올해 2분기 7.08%, 9.13%로 늘었다. 특히 서울지역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빌라) 3년 이하 단기 보유 매도인 비율이 지난해 3분기 17.29%에서 올해 2분기 24.16%로 증가했다.
직방은 이번 매도 비율 증가 원인으로 급등한 금리로 인한 대출 부담을 꼽았다. 저금리 시기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해 주택을 구매한 여파로 분석한 것이다.
이는 주택담보대출액 변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2020년 2분기 18조790억원이던 주택담보대출액은 △3분기 25조7170억원 △4분기 36조2910억원 △2021년 1분기 33조2770억원 △2분기 12조7650억원 △3분기 38조5870억원 △4분기 25조450억원으로 영끌 열풍을 타고 급증했다.
아울러 가계대출 금리 구간별 대출 비중 역시 높은 금리 구간의 대출액 비중도 늘었다. 2021년 1분기에는 3% 이하 금리 비중이 78.6%에 달했지만, 현재는 3% 이상 금리 비중이 83.3%를 차지한다.
특히 늘어난 금리와 주택담보대출액은 월 대출 상환액 급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직방은 매매가격이 연말까지 유지되고 금리가 7%까지 오를 경우 올해 4월보다 월 대출 상환액이 67만원, 약 34% 상승을 예상했다. 또 수요가 많은 84㎡ 중형 아파트는 월 대출 상환액이 82만원, 약 39%라는 높은 상승률을 보일 것으로 분석했다.
이어 향후 금리인상이 지속될 경우 현재의 소득수준 대비 아파트 금융비용이 가계에 과도한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물가상승 및 경기둔화에 부동산 매물마저 적체되면서 적기 매도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최근 한국은행의 ‘빅 스텝(기준금리 0.5%p 인상)’과 추가 금리 인상 시사 여파로 비용 부담과 심리적 부담에 처분을 선택하는 매도자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형준 기자 khj0116@kukinews.com
암‧뇌‧심장 치료비 담보 상품, 30일부터 판매중단
오는 30일부터 암‧뇌‧심장 3대 치료비 관련 담보 상품이 전면 판매 중단된다.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KB손해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