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 공공아파트(안단테) 지하주차장 붕괴사고를 계기로 건설현장 안전이 재조명되고 있다. 건설사들도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안전 태세를 더 강화하고 있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형사들은 매뉴얼에 따라 안전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문제가 된 ‘무량판 공법’과 유사한 구조는 없는지, 사고 가능성을 열어두고 현장을 살피는 중이다.
현대건설 측은 “(건설현장에) 무량판 공법을 거의 안 쓴다”라면서도 “(사고가 나면) 유사한 구조가 있는 지 바로 현장을 점검하는 걸로 안다”고 밝혔다.
DL이앤씨 측도 “(무량판 공법과) 비슷하게 설계된 곳이 재점검 될 텐데, 모든 현장을 특별점검하진 않을 것”이라며 “사고가 있어선 안 되니까 평소에 신경 써서 관리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인천검단 AA13-2 공공주택 신축공사 현장 지하주차장 상부구조물이 무너졌다. 무너진 구조물엔 보 없이 바닥과 기둥으로 하중을 지탱하는 ‘무량판구조’가 적용된 걸로 알려졌다.
국토안전관리원 등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원인 검증이 이뤄지고 있다. 설계와 시공 중 어느 쪽으로 책임이 더 기울진 적어도 두 달 정도 기간이 지나야 알 수 있을 전망이다.
무량판 공법 자체가 문제는 아니라는 의견도 나온다. 무량판 공법은 내부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층간소음이나 진동에 유리하다. 이런 장점 덕분에 장수명 주택을 짓는데 쓰인다. 타설한 지 1년 된 콘크리트에 토사만 올렸을 뿐인데 무너진 건 결국 설계상 오류일 수 있다는 것.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무량판 공법은 10년 전부터 사회적 요구에 의해 적용된 검증된 기술”이라며 “이번 사고는 아주 이례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공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다면 구조설계 자체가 잘못된 게 아닌가 생각 한다”고 덧붙였다.
이 관계자는 또 “무량판 공법은 일반 벽식보다 비용이 더 든다”라며 “건설업계가 이번 사고를 계기로 마치 비용절감을 위해 무량판 공법을 사용한다는 잘못된 인식이 깔릴까 우려 된다”고 전했다.
1년 전 광주 화정아이파크 사고를 겪고도 건설현장에 안전 고리가 완전히 채워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안전사고가 반복되는 건 업계에 비리와 잘못된 관행이 만연했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 정부는 직권을 써서라도 불합리를 솎아낸다는 방침이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2일 현장 간담회에서 “불법하도급이 있는지, 국민에게 숨기고 싶었던 불편한 진실이 있는지 직권으로 철저히 들여다보고 파헤칠 것”이라고 밝혔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