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정보 흘러간다” 딥시크 ‘경계’…대만 등 이용 차단

“중국에 정보 흘러간다” 딥시크 ‘경계’…대만 등 이용 차단

대만 디지털부, 정부 부처 딥시크 서비스 금지령
한국, 정보수집 항목·절차 확인 질의서 발송 예정
세계 주요국 잇따라 이용 제한 조치 및 규제 검토

기사승인 2025-02-01 16:35:57 업데이트 2025-02-01 16:47:44
연합뉴스 

대만이 각 부처와 정부 기관의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 서비스 이용을 막았다. 중국으로 데이터가 흘러들어갈 가능성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세계 주요국들도 잇따라 딥시크에 대한 차단 조치를 추진하거나 규제를 검토 중이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디지털부는 정보 보안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정부 부처가 이용해선 안 된다며 금지령을 내렸다.

대만 디지털부는 “딥시크는 중국의 서비스이며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 유출 및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한다”면서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협하는 제품”이라는 성명을 냈다.

대만의 딥시크 AI 이용 금지 조치는 중앙·지방 정부 부처 및 기관,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에 적용된다.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를 맡고 있거나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도 이용이 제한된다. 

최근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공개해 파란을 일으킨 딥시크를 경계하며 정보 유출 가능성을 주시하는 움직임은 세계 주요국들에서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의회와 해군, 항공우주국 등이 딥시크 금지 조치에 나섰다. 이탈리아의 개인정보 보호기관인 가란테(Garante)는 개인정보 사용의 투명성이 부족하다며 딥시크 이용을 못하도록 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개인정보 수집 항목, 절차를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딥시크에 발송할 예정이다. 영국과 프랑스 등도 딥시크에 질의서를 보내 규제 필요성을 검토 중이다.

딥시크가 밝힌 개인정보 보호 약관에 따르면 수집 데이터는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된다. 또 중국 정부의 법률을 적용 받는다.
김성일 기자
ivemic@kukinews.com
김성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