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20일 12·3 비상계엄 당시 주요 인사 체포시도를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방첩사령관이 동향 파악을 요청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증인신문이 끝난 이후에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위치 확인, 체포를 부탁했다는 기사를 보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물어봤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여 전 사령관은 순 작전통이고 그래서 수사 개념 체계가 없다 보니 위치 확인을, 좀 동향 파악을 하기 위해 했다”며 “경찰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휴대전화를 알지 않으면 어렵다고 딱 잘라 말했다’고 해서 저도 그 부분(동향 파악)은 불필요하고 잘못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국정원 1차장 메모와 관련된 문제는 그런 차원의 문제가 아니고 저와 통화한 걸 갖고 대통령 체포지시라는 것과 연결해서 내란과 탄핵 공작을 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제가 당시에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을 갔는지 여부에 대해 오해가 있다 보니 직무대리인 1차장에게 통화하게 된 상황이 발생했다고 지난번에도 말씀드렸다”며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밤 홍 전 차장에게 연락한 것은 간첩 사건에서 방첩사령부를 지원해달라는 취지였고 이를 홍 전 차장이 “체포 지시로 만들어냈다”는 주장도 반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