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尹 탄핵’ 선고일 지정에 전략 수정…‘쌍탄핵’ 일단 보류

민주, ‘尹 탄핵’ 선고일 지정에 전략 수정…‘쌍탄핵’ 일단 보류

“한덕수 책임 묻겠다”면서도 ‘탄핵’과 거리두기
최상목 탄핵안은 2일 본회의 보고…표결 날짜는 미정
4일 尹 탄핵 선고 결과에 따라 전략 수정할 듯

기사승인 2025-04-01 17:41:40
피청구인 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에 대한 선고기일이 4월4일(금) 오전 11시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다고 통지된 1일 안국동 헌법재판소 주위에 경찰 버스로 차벽이 쌓여지고 주변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곽경근 대기자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오는 4일로 지정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전략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최상목 경제부총리에 대한 ‘쌍탄핵’을 검토해 온 민주당은 일단 ‘보류’로 입장을 선회하는 분위기다.  

민주당은 1일 오전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공지한 이후 ‘쌍탄핵’에 거리두기 중이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헌재 공지 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한 대행을 향해 “마지막으로 경고한다. 오늘 당장 헌재 결정에 따라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라”며 “한 총리가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 헌법과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헌정 붕괴를 막고 국민을 지키기 위해 국회가 해야 할 일을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헌재 공지 직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가진 뒤 한 대행 탄핵에 대해 한발 물러섰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총리에 대해서는 ‘중대결심’을 얘기했지 구체적으로 탄핵을 거론하지는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다만 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이는 한 총리가 당연히 해야 할 헌법 의무이고 이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그동안 탄핵을 간접적으로 표현할 때 ‘비상한 결단’, ‘비상한 각오’ 등으로 표현해 왔다. 

최상목 경제부총리에 대한 탄핵 추진 역시 일단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조 수석대변인은 “최 부총리가 명백한 헌법 위반을 했기 때문에 (탄핵안을) 발의한 것이다. 본회의 진행 상황을 보며 (추진 여부를) 판단하겠다”고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오는 2일과 3일 국회 본회의 일정을 확정하면서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 본회의 보고와 표결을 위한 요건(본회의 보고 이후 24~72시간 내 표결)은 마련된 상태다. 그러나 민주당은 4일 헌재의 탄핵 심판 결과를 지켜본 뒤 탄핵 추진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내일 본회의에서 탄핵안이 자동 보고된다. 이후 표결 시점을 좀 적절하게 조절하겠다”면서 “4일 선고 결과를 보고 (표결을 하든 법사위에서 담당하는 것으로 넘기든) 결정해도 되지 않나”라고 했다. 

국회법에 따르면 탄핵소추안은 국회 본회의 보고 이후 72시간 내 표결하지 않으면 자동 폐기된다. 만약 4일 헌재가 윤 대통령 파면 결정을 내릴 경우, 최 부총리 탄핵안은 표결 없이 폐기될 가능성이 크다. 

민주당이 쌍탄핵 카드를 일단 접은 데는 헌재 선고일 지정으로 마은혁 후보자의 재판관 합류가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은 당초 마 후보자 임명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으로 한 권한대행과 최 부총리에 대한 탄핵을 추진해 왔기 때문이다. 또 윤 대통령 탄핵 인용 시 조기 대선으로 정치 지형이 급변할 가능성에 대비해 역량을 집중하려는 판단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민주당은 윤 대통령 탄핵 선고일까지 비상행동을 유지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오는 4일까지 국회 경내 비상대기는 물론 광화문 천막당사에서 릴레이 철야 농성을 진행하는 등 투쟁 강도를 최고조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권혜진 기자
hjk@kukinews.com
권혜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